젊은 남성들의 귀환? (3) 원인 분석 2 - 전통과 권위, 온라인 > 아멘 매거진

본문 바로가기


아멘 매거진

젊은 남성들의 귀환? (3) 원인 분석 2 - 전통과 권위, 온라인

페이지 정보

기사 작성일2025-04-30

본문

[기사 요약] 젊은 남성들은 현대 사회의 혼란 속에서 구조와 권위를 제공하는 전통적 교회에 끌리며, 온라인에서 전통적 가치와 남성성에 대한 콘텐츠에 노출되며 신앙에 관심을 갖고 교회로 나아가는 경향을 보인다.

 

-------------------------------------------------------

젊은 남성들의 귀환? 시리즈

(1) 2025년 미국 및 영국 교회 동향 분석

(2) 원인 분석 1 - 소속감과 문화적 변화

-------------------------------------------------------

 

f57c1775748f3274e80f881e91cf2b1d_1746009957_89.jpg
 

C. 구조, 전통, 권위에 대한 매력

 

불확실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일부 젊은 남성들은 명확한 구조, 오랜 전통,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권위를 제공하는 종교에 매력을 느낀다.

 

교회는 삶의 지침이 되는 명확한 도덕적 규범과 행동 양식을 제시한다. 이는 가치관의 혼란을 겪거나 방향성을 찾고자 하는 젊은 남성들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또한, 교회는 예측 가능하고 구조화된 환경을 제공하며, 이는 혼란스러운 세상 속에서 질서와 안정을 갈망하는 이들에게 매력적일 수 있다.

 

특히 가톨릭, 정교회, 또는 전통적인 개신교 교파들은 수 세기에 걸쳐 내려오는 전례, 교리, 영적 훈련 등을 통해 깊이와 역사성을 제공한다. 일부 젊은 남성들은 현대화되거나 세속화된 종교보다는 이러한 '미지근하지 않은(lukewarm)', 보다 엄격하고 전통적인 신앙 형태에 더 큰 매력을 느낀다. 이들은 라틴어 미사나 전통적인 수도원 생활, 고전 교육을 강조하는 교구 등에서 진정성과 깊이를 발견한다. 이러한 전통과 권위는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흔들리지 않는 견고한 토대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사회학적으로 볼 때, 신자들에게 더 많은 헌신과 참여를 요구하는 '고강도(higher-demand)' 종교 집단이 세속화의 압력 속에서도 더 강한 회복력과 성장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젊은 남성들이 전통적이고 구조화된 종교에 끌리는 현상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들은 피상적인 만족보다는 더 깊은 헌신과 의미를 요구하는 신앙 공동체에서 더 큰 가치를 발견하는 것일 수 있다.

 

D. 온라인 영향력과 디지털 문화의 역할

 

디지털 시대에 성장한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에게 온라인 공간은 정보 습득, 관계 형성, 가치관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젊은 남성들의 종교 참여 증가 현상 역시 온라인 문화와 무관하지 않다.

 

조던 피터슨(Jordan Peterson)과 같은 지식인이나 소위 '매노스피어(manosphere)'로 불리는 온라인 남성 중심 커뮤니티, 그리고 틱톡의 #ChurchTok과 같은 플랫폼은 전통적인 가치, 남성성, 때로는 종교적 메시지를 젊은 남성들에게 전파하는 통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콘텐츠는 현대 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공하고, 전통적인 역할과 가치를 재조명하며, 일부 젊은 남성들에게 종교에 대한 호기심이나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온라인을 통해 신앙이 정상적이거나 매력적인 것으로 비춰지면서, 과거에는 종교에 무관심했거나 부정적이었던 젊은 남성들이 마음을 열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인터넷은 젊은이들이 스스로 정보를 탐색하고 결론을 내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과거처럼 특정 종교 지도자나 무신론 사상가에게 의존하기보다, 온라인에서 직접 성경을 읽거나 다양한 기독교 콘텐츠를 접하며 개인적인 신앙 여정을 시작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상의 관심이 반드시 오프라인 교회 참여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많은 연구와 분석은 실제적인 교회 공동체 경험, 즉 소속감, 관계 형성, 정서적 지지가 젊은이들을 교회로 이끌고 머물게 하는 핵심 요인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온라인 세계는 젊은 남성들의 태도를 형성하고 관심을 유발하는 '사전 준비(priming)'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실제적인 신앙의 심화와 지속적인 참여는 오프라인 교회가 제공하는 공동체적 경험과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다. 온라인에서의 노출이 특정 가치(전통, 질서, 남성성 등)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고, 이러한 가치를 구현하는 것으로 보이는 오프라인 교회 공동체에 대한 매력을 증가시키는 연쇄적인 과정이 작용할 수 있다.

 

​AI 생성사진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멘 매거진 목록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