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의 그리스도인 (2) 목회자의 책상 위에 놓인 AI 유혹
페이지 정보
기사 작성일2025-09-26관련링크
본문
목회자의 영적 씨름, AI는 대신할 수 없다
설교와 상담, AI에 기댈 때 교회가 잃는 것들
[기사요약] ERLC 보고서는 목회자들이 겪는 AI의 유혹을 구체적으로 다룬다. 특히 AI를 활용한 설교문 작성과 챗봇을 통한 심방 및 상담은 목회 윤리적으로 매우 부적절하다고 지적한다. 설교는 정보 전달을 넘어 목회자 자신의 영적 씨름의 산물이며, 상담은 인격적인 돌봄이 핵심이기에 AI로 대체될 수 없다고 강조한다.
▲ AI 설교 작성, 영혼의 양식 아닌 ‘정보’일 뿐 (AI사진)
시간에 쫓기는 목회자들, 특히 이중직 목회자들에게 AI는 거부하기 힘든 유혹으로 다가온다. ERLC 보고서에 따르면, 한 개척교회 목회자 모임에서는 AI를 설교 개요 작성이나 어려운 구절을 쉽게 푸는 데 활용한다는 의견과, AI가 작성한 설교를 약간 수정해 선포하는 것까지 문제없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러나 보고서는 이러한 접근이 매우 비성경적이라고 선을 긋는다. 설교 준비와 선포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은 설교자 자신이 먼저 말씀과 씨름하며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고 변화되는 과정 그 자체다. 보고서는 "스스로 가보지 않은 곳으로 다른 사람을 인도할 수 없다"는 오래된 격언을 인용하며 , 목회자가 먼저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만남을 통해 변화된 후 그 경험을 바탕으로 설교해야 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AI 초안에 의존하는 것은 "지혜롭지 못하고 비윤리적"인 행위다. 목회자의 깊고 인격적인 말씀과의 씨름 없이 만들어진 설교는 회중에게 영적인 해를 끼칠 수밖에 없다. 설교 준비 과정을 단축하면, 본문과 씨름하며 얻는 귀중한 개인적 통찰을 잃게 된다. 보고서는 AI를 여러 도구 중 하나로 참고할 수는 있지만, 설교 준비라는 목회자의 고유한 소명을 대체하거나 대신하는 데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결론 내린다.
상담 사역 역시 마찬가지다. 보고서는 한 성도가 전문 상담사를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 AI 챗봇을 통한 '톡 테라피'를 고려하는 사례를 제시한다. ERLC는 이러한 AI 활용을 강력히 반대한다. 성도에게 필요한 것은 정보 제공이 아니라, 믿음의 공동체가 함께 아파하며 걷는 '체화된 공동체(embodied community)'이기 때문이다.
AI 챗봇은 진정성 있는 공동체를 모방할 수는 있지만 , 그들이 제공하는 정보는 본질적으로 비인격적이고 공허하다. 성도를 AI에 맡기는 것은 교회가 감당해야 할 근본적인 돌봄의 소명을 외면하는 행위가 될 수 있다. 보고서는 "목회 사역은 효율적이거나 쉽지 않다"고 말하며, 사람을 돌보는 일에는 시간과 관심, 자원을 쏟는 희생이 따르는 것이 당연하다고 강조한다.
----------------------------------------------------------
미남침례회, AI 시대 안내서
AI 시대의 그리스도인 (1) AI, 교회에 던져진 ‘거룩한 질문’
AI 시대의 그리스도인 (2) 목회자의 책상 위에 놓인 AI 유혹
AI 시대의 그리스도인 (3) AI와 씨름하는 다음 세대, 어떻게 도울까?
AI 시대의 그리스도인 (4) 교회 사역의 ‘스마트 파트너’ AI 활용법
ⓒ 아멘넷 뉴스(USAamen.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