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성도 30% “쳇GPT 통해 생성된 설교문 받아들일 수 있다” > 한국 세계 뉴스

본문 바로가기


페이스 상패 해피바잉 이희상 로제 제이미


한국 세계 뉴스

한국교회 성도 30% “쳇GPT 통해 생성된 설교문 받아들일 수 있다”

페이지 정보

한국ㆍ2023-04-26 05:20

본문

“60퍼센트는 수용 불가” 입장 밝혀...

"목회현장에서 챗GPT 생성 설교문을 사용하는 데에는 큰 부담감으로 작용할 것"

 

한국교회 성도 중 30%는 쳇GPT를 통해 생성된 설교문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밝혔다.

 

28a97135f282d8fcbce872d962d17914_1682500852_7.png
▲ 한국교회 성도 중 30%는 쳇GPT를 통해 생성된 설교문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밝혔다.  © 뉴스파워

 

목회데이터연구소가 연구소 정기구독자 360명의 목회자를 대상으로 지난 10일부터 23일까지 실시한 제50차 넘버즈 POLL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목회데이터연구소 구독자 중 목회자가 아닌 성도들을 대상으로 ‘목회자가 쳇GPT를 통해 생성된 설교문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을 물은 결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응답은 60%로 10명 중 6명은 수용 불가 입장이었다. 반대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응답은 30%, ‘잘 모르겠다’는 10% 순이었다.

 

이와 관련 목회데이터연구소는 "넘버즈 186호의 ‘챗GPT 생성 설교문 사용에 대한 교인 반응 예상’(목회자 대상 질문)과 비교했을 때 ‘받아들이기 어렵다(혹은 어려울 것이다)’는 목회자(69%) 대비 성도들의 의견이 9%p 낮게 응답되었지만 과반수가 반대의 의견을 나타내 실제 목회현장에서 챗GPT 생성 설교문을 사용하는 데에는 큰 부담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김현성 ⓒ 뉴스파워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한국 세계 뉴스 목록

Total 1,741건 1 페이지
한국 세계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윤철호 박사 “AI, 인간의 영성 대신할 수 없다” 새글 2025-11-12
새들백교회 케빈 리 목사 “건강한 교회, 본질에 충실해… 2025-11-11
"10년째 줄어드는 교세…'용서'로 새 길 모색해야" 2025-11-11
"헌금하면 복, 병은 믿음 탓?"…교회 안에 스며든 무… 2025-11-11
"오는 선교의 시대…한국교회, 270만 이주민 품어야" 2025-11-07
"이제 '다음세대' 아닌 '다음시대' 준비해야" 2025-11-04
중세교회와 닮은 한국교회…"종교개혁 정신 되찾자" 2025-11-04
'2025 다니엘기도회' 21일간 대장정 시작…GOOD… 2025-11-04
"복음의 축, 서구에서 아시아로"…WEA 서울총회 폐막 2025-11-04
AI 쓰나미 속 한국교회…기독교적 윤리·영성으로 통제해… 2025-10-23
'은퇴 쓰나미' 앞둔 한국교회…청빙 새로운 변화 필요'… 2025-10-20
제75주기 문준경 전도사 추모예배 드려 2025-10-06
예장백석, 목회자 정년 '현행 75세' 유지 2025-10-01
한국 장로교단 총회를 결산/주요 교단 결의 내용 정리 2025-09-25
[기침] 신임 총회장에 최인수 목사…"침신대 살리고 연… 2025-09-24
예장통합 총회장 정훈 목사 추대…"용서, 사랑의 시작" 2025-09-24
[예장합동 정기총회] 혼란 끝에 임원선출…장봉생 목사 … 2025-09-23
예장백석 제4총회, 목사정년 폐지 2025-09-22
[예장합동 정기총회] 제110회 총회, 갈등 속 개회…… 2025-09-22
예장백석, 제48회 정기총회 개최…한국교회 부흥 견인 … 2025-09-16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