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개혁 500주년.. 한국교회는 정말 개혁 될 수 있을까? > 한국 세계 뉴스

본문 바로가기


한국 세계 뉴스

종교개혁 500주년.. 한국교회는 정말 개혁 될 수 있을까?

페이지 정보

갱신ㆍ2017-01-08 00:08

본문

 

■ 방송 : CBS TV (CBS주말교계뉴스, 1월 6일(금) 밤 9시50분)

■ 진행 : 조혜진 앵커 

■ 대담 : 이상화 사무총장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

 

◇ 조혜진 > 1517년 수사였던 마틴 루터가 당시 교회의 면죄부 판매 등의 95개조 반박문을 게재하면서 종교개혁의 불씨를 당겼는데요. 올해는 루터의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는 해입니다. 한국교회의 올 한 해의 중요한 화두가 될 텐데요. 

 

오늘 초대석 시간에는 종교개혁 500주년을 준비하는 한국교회의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 사무총장인 이상화 목사 나왔습니다. 목사님, 어서 오십시오. 

 

◆ 이상화 > 네, 안녕하셨습니까? 

 

◇ 조혜진 > 올해 종교개혁이 일어난 지 꼭 500주년이 되는 해잖아요. 그런데 한국교회가 유독 종교개혁 500주년에 관심이 많았던 것 같아요. 왜 그렇다고 보세요? 

 

◆ 이상화 > 한국교회는 일단 ‘개신교회’, 요즘은 ‘기독교’ 용어를 쓰자고 말하긴 하지만 개신교 기독교는 개혁교회의 후예들이죠. 그러니 개혁교회의 원 뿌리가 어떻게 되느냐에 대한 관심이 클 수밖에 없고요. 

 

그 다음에 종교개혁 500주년 이면서 500년 전에 일어났던 종교개혁을 돌아볼 때 이것은 사회를 전체적으로 한 번 변화시킨, 그냥 교회 개혁만이 아니고 사회 전체를 바꾸는 하나의 운동이었기도 했고 역사적 사건이기도 했기 때문에 이것이 한국교회에도 좀 적용이 되어서 한국사회까지 좀 바꾸면 좋겠다는 기대감이 큰 것 같습니다. 

 

◇ 조혜진 > 네, 그 기대감. 당시 500년 전에는요. 그럼 사회를 어떻게 바꿨을까요? 

 

◆ 이상화 > 인간에 대한 재발견에 대해서 얘기했던 인본주의로까지 옮아가게 되고요. 성경은 또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이 얼마나 중요한지, 사회 구조 자체가 또 어떤 특정 계층의 지배가 아니라 이것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회복 운동이 일어나면 서로가 서로를 사랑할 수밖에 없고 껴안아줄 수밖에 없죠. 그러면 사회개혁이 일어나지 않을 수가 없지 않겠습니까. 

 

◇ 조혜진 > 그렇군요. 지금 목사님이 소속돼 있는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 한목협이 지난 한 해 동안 각 교단에서 준비되고 있는 종교개혁 500주년 행사들을 한 번 취합을 해보셨잖아요. 내용이 어떤가요? 

 

◆ 이상화 > 해보니까 역시 개혁교회라고 말은 하지만 실제적으로 개혁운동을 준비하는 것은 좀 적다는 것을 많이 발견하였습니다. 

 

◇ 조혜진 > 왜 그렇게 느끼셨어요? 

 

◆ 이상화 > 작년 9월 총회 전에 종교개혁 500주년을 준비하는 위원회가 있는 교단이 다섯 개 교단밖에 안 됐습니다. 

 

◇ 조혜진 > 다섯 개 교단이면 예장통합, 합동, 고신.. 

 

◆ 이상화 > 통합, 합동, 고신, 기장, 그리고 루터교단. 그 정도였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계속해서 이렇게 해서 ‘아, 이렇게 해서는 안 되겠다, 2017년 의미 있는 해에 한국교회 전체가 개혁교회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면 종교개혁을 준비하는 그런 어떤 준비들을 전 교단이 좀 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런 호소문도 발표하고 했었습니다. 

 

◇ 조혜진 > 다섯 개 교단에 불과했다고 말씀을 하셨는데, 그 내용면에서는 어땠었나요? 

 

◆ 이상화 > 역시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인 교단은 기독교한국루터회 루터교단이 적극적이었습니다.

 

◇ 조혜진 > 아무래도 그렇겠네요. 

 

◆ 이상화 > 그리고 또 2017년에 종교개혁기념일을 어간으로 해서 10월 28일부터 29일에는 일산 킨텍스 홀을 빌려가지고 그 안에 컨텐츠를 채우는데, ‘한국교회가 전체적으로 좀 하나 돼서 채웠으면 좋겠다’ 이런 발언도 수장이신 우리 총회장님이나 부총회장님께서 말씀을 해 주셨고. 

 

한목협이 지난 해 499주년 종교개혁 기념예배를 중앙루터교에서 예배를 드렸습니다. 그 때도 역시 적극적으로 그런 제안을 해 주셨습니다. 그리고 또 4대 교단도 나름대로 열심히 준비들을 하고 있는데 조금 중첩되는 게 있는 게 사실입니다. 그리고 각 교단이 특성화 시켜서 하는 것도 있고요. 

 

그래서 계속해서 잘 하고 계시는데, 기왕이면 연합해서 할 것은 좀 연합해서 같이 논의해서 하십시다. 그러나 개 교단별로 특성을 가지고 하는 것은 개 교단별로 열심히 하셔서 또 한국교회에 좋은 모범을 보여주시면 좋겠습니다. 

 

◇ 조혜진 > 이런 지적들이 있습니다. ‘행사에만 그치고 마는 게 아니냐, 정말 개혁은 안 되는 거 아니냐’이런 우려들이 있어요. 저희가 10년 전에 이 경험을 해봤거든요. 

 

◆ 이상화 > 10년 전만이 아니라 다수 경험을 했죠. 

 

◇ 조혜진 > 다수 경험도 했지만 특히 평양대부흥을 경험하는 2007년에 행사는 크게 요란하게 했습니다만 달라지는 건 없었어요. 거기에 대한 우려가 있는데 어떻게 보세요? 

 

◆ 이상화 > 2017년 이제 새해가 열렸는데 과연 어떤 것을 선택하고 집중할 것인지에 대한 라운드 테이블에 앉는 그런 일들이 교단을 대표하시는 분들, 그 다음에 한국교회를 대표하신다고 하는 각 기관 대표들이 좀 논의를 해야 될 것 같고요. 

 

그 다음에 또 행사가 너무 물량적으로 가는 것도 좀 지양해야 될 것 같습니다. 지금 사실은 한국교회 여러 가지 상황들, 인구센서스에서는 늘었다고 하지만 교회가 지금 가지고 있는 재정 필요도는 굉장히 큰 건 사실이거든요. 불필요하게 재정을 출혈한다거나 그런 것보다도 정말 의미론적으로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 

 

또 실질적으로 개혁정신을 그 때의 ‘솔라(Sola, 오직)’와 지금의 ‘솔라(Sola, 오직)’가 좀 동일하게 그렇게 얘기 되어지는 그 부분을 어떻게 라운드테이블에 앉아서 논의할 것인가. 지금 1월, 2월이 지나가면 솔직히 말씀드리면 교단의 수장으로 계시는 총회장님들께서 이제 또 총회를 준비하시는 상황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굉장히 좀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래서 빠르게 이것은 좀 진행되어야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이 듭니다. 

 

1b1fc86a667d89e62946c90724c41bdc_1483852103_13.jpg
▲종교개혁자들은 '오직 믿음(Sola fide), 오직 은혜(sola gratia), 오직 성경(sola scriptura)'을 주창했다.

 

◇ 조혜진 > 그러면 이것만은 놓치지 말아야 된다,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서. 하는 부분이 있다면 어떤 걸까요? 

 

◆ 이상화 > 한국교회는 공교회 회복 운동이 좀 일어나야 할 것 같습니다. 실례를 들면 가톨릭교회가 요즘은 안 한다고 하긴 하는데 교인들이 이명을 할 때, 이명증서를 떼 줘서 이 사람이 어느 정도의 신앙심을 가지고 움직이는 사람인지 그걸 인정하는 이명증서를 뗀 다든지 그것이 또 우리 개신교 안에도 부활되어야 되지 않느냐. 그런 얘기까지. 

 

그러니까 도대체 어디서 신앙생활을 했는지 모르기 때문에 서로가 또 조심하고 있고, 또 CBS가 지금 열심히 해왔던 ‘신천지OUT’ 같은 것도 그런 의미에서 이명증서만 있다면 많이 해소될 수 있는 부분이거든요. 그러니까 공교회 회복 운동이 좀 일어났으면 좋겠다고 저는 그렇게 봅니다. 

 

◇ 조혜진 > 여러 가지 개혁해야 할 과제들이 많긴 합니다만, 그 중에서도 제일 먼저 공교회 회복 말씀 하셨습니다. 한국교회가 많이 생각을 해봐야 될 지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조혜진 기자 ⓒ CBS 크리스천노컷뉴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한국 세계 뉴스 목록

Total 1,664건 91 페이지
한국 세계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