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안의 교회’ 소그룹, 교회 성장의 척도 > 한국 세계 뉴스

본문 바로가기


한국 세계 뉴스

‘교회 안의 교회’ 소그룹, 교회 성장의 척도

페이지 정보

한국ㆍ2023-06-08 20:34

본문

목회데이터연구소 주간 리포트 발표

성장하는 교회들의 공통점 ‘소그룹’

 

4ab359497c9040151930c510cd01568a_1686270881_98.jpg
▲모여 앉은 청년들. (사진출처 = 연합)

 

코로나 이후 개인주의가 빠르게 확산되며 한국사회에서는 나노화 현상이 등장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아래 ‘교회 내 소그룹 활성화’은 교회와 성도들에게 유익함을 준다. 코로나 이후 성장하는 교회의 공통점은 교회 안에서 소그룹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소그룹과 교회의 양적 성장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목회데이터연구소 주간보고서가 6일 발표됐다. 보고서는 지구촌교회/한국소그룹목회연구원의 후원 아래 기획된 ‘한국교회 소그룹 활동 실태조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목데연은 지앤컴리서치에 조사를 의뢰, 개신교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으며 교회 내 운영 소그룹을 ‘신앙 소그룹’과 ‘취행 소그룹’으로 나눠 살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현재 교회 내 신앙 소그룹 중 평균 77%가 정기적 모임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기 모임을 가지는 비율을 교인 수 추이와 연관해 살펴보면 증가하는 교회(84%), 정체하는 교회(74%), 감소하는 교회(58%) 순으로 드러났다.

 

신앙 소그룹이 모이는 주기는 ‘매주’가 6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매월(17%), 격주(15%) 순으로 드러났다. 교인 수가 증가하는 교회의 ‘매주 모인다’는 응답 비율은 72%로 타 교회보다 높게 나타났다. 소그룹 참석자에게 적정한 모임 시간을 물은 결과, 응답자의 68%가 ‘1시간 내외’라고 답했다. 평균적으로는 1시간 20분에 달했다.

 

현재 참여하고 있는 소그룹의 편성 기준은 주로 연령(59%)과 지역(55%)인 것으로 나타났다. 참석자들이 선호하는 소그룹 편성 기준 역시 ‘연령’이 94%를 차지했다. 소그룹 활동 내용으로는 ‘말씀 나눔/성경공부’가 73%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어 교제/친교가 67%, 삶 나눔이 59%, 예배 56%로 나타났다.

 

소그룹 활동자 대다수(90%)는 소그룹 모임에서 감동과 은혜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그중 64%가 ‘소그룹 안에서 삶을 나누며 교제할 때’ 은혜를 받는다고 응답했다. 반면 어떨 때 소그룹 모임이 부담스러운지 물은 결과, ‘불편한 사람과 함께 하는 것’(49%), 한 두 사람이 이야기를 독점할 때(49%)라고 답변했다. 소그룹에서 가장 주의해야할 점으로는 ‘소그룹에서 나눈 이야기의 비밀 보장’이 꼽혔다.

 

교회 내 취향 소그룹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중 76%가 ‘있다’고 답했다. 4명 중 3명인 셈이다. 취향 소그룹에 대한 인식은 ‘교제와 친교를 강화하는 모임이므로 적극 권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58%, ‘자발적 모임이므로 교회가 특별히 할 일이 없다’는 의견이 42%로 나타났다.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취향 소그룹이 운영된다면 참여할 의향에 대해 물은 결과, 대부분(81%)이 참여 의향을 보였다. 현재 ‘취향 소그룹 참여자’ 중 소그룹에서 말씀/삶을 나눌 의향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88%에 달했다.

 

목데연 관계자는 “소그룹은 개인화가 극단적으로 치닫는 이 때에 시대적 대안이면서 본대 공동체를 지향하는 교회가 교회다움을 내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라며 “성장하는 교회일수록 소그룹 지표가 뛰어난 것으로 보아 소그룹이 잘 안되는 교회들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양예은 기자 ⓒ 데일리굿뉴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한국 세계 뉴스 목록

Total 1,683건 19 페이지
한국 세계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서창원 전 총신대 신대원 교수 “여성 목사안수 반대 이… 2022-09-13
신학대 정원 미달사태, 융합교육으로 위기 돌파 2022-09-12
교단 정기총회 잇달아 개최…주요 쟁점은? 2022-09-08
박영돈 교수 “한국 교회의 윤리의 타락은 바른 구원에 … 2022-09-06
'조용기 목사 1주기' 맞아 신앙·신학 되새긴다 2022-09-06
탁지일 교수, 『기독교이단 아카이브』 출판 2022-09-04
한국교회 고령화 직격탄…노인들의 속마음은? 2022-08-25
'메타버스 교회' 괜찮을까?…"공동체성 결여 우려" 2022-08-23
명성교회, 김하나 위임목사 재추대 결의...교개연, 불… 댓글(1) 2022-08-23
한국교회 원로, 국가·교회 부흥 이끈다…"삼겹줄 신앙으… 2022-08-21
소강석 목사 "포스트 엔데믹, 교회 세움 프로세스" 댓글(2) 2022-08-21
"이단 근절에 나설 것"…이단 용어 통일 등 10개 교… 2022-07-22
임현수 목사 "복음통일 위해선 탈북민 먼저 품어야" 2022-06-30
"코로나19로 떠난 성도 되찾자"…예배 회복 위한 움직… 2022-06-30
고개드는 이단, 10개 교단 힘 모은다… “규정 통일하… 2022-06-16
현장예배 회복에도 갈수록 커지는 '교회 양극화' 2022-06-14
오순절 이어 로잔대회까지 韓 개최…제2의 부흥 이끈다 2022-06-14
목회자 45% “다시 태어나도 목회자로 살겠다” 2022-06-14
“코로나19 이후 큰 교회일수록 신앙 수준 약화” 2022-06-03
한국교회 원로가 제안하는 '엔데믹 시대' 복음 전략은? 2022-05-29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