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님 설교에 감히"…교회도 피드백 문화 필요해 > 한국 세계 뉴스

본문 바로가기


한국 세계 뉴스

"목사님 설교에 감히"…교회도 피드백 문화 필요해

페이지 정보

한국ㆍ2023-11-15 12:47

본문

목회 피드백 받는 목회자일수록 교인 수 증가 높게 전망

“데이터 정량 평가 혹은 목회 선배나 전문가에게 피드백 받아야”

 

a5a62b54677adf8cafd4f2d783b308bd_1700070472_52.jpg
 

최근 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직장인 86%가 ‘적절하고 명확한 피드백은 업무 성과에 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과 마찬가지로 직제를 가지고 조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회에서도 피드백은 중요한 역할이다. 피드백 문화가 정착되면 교회 조직 문화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하지만 교회에서 목회자가 설교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 경우는 네명 중 한명 꼴이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교회와 사회의 피드백 문화’ 리포트를 14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교회 담임목회자 중 정기적인 설교 피드백을 받는 비율은 24%로 드러났다. 연령별 비율은 ‘49세 이하’ 31%, ‘50대’ 23%, ‘60대 이상’ 19%로 집계됐다.

 

이들이 받는 평가의 주체는 ‘배우자, 가족’이 75%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교인’(11%), ‘교회 밖 동료, 선후배, 지인’(11%) 순이었다.

 

‘60세 이상’ 목회자는 가족 이외로부터 설교 피드백 받는 비중이 20%로 전체 평균(25%)에 비해 낮았다.

 

목데연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설교 피드백 받는 비중이 가족에게 편향된 경향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목회 코칭 경험이나 자문 평신도 여부도 목회자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담임 목회자 47%는 목회 코칭을 받은 적이 있거나 현재 받고 있다고 답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49세 이하는 54%, 50대 44%, 60대 이상 41%가 목회 코칭을 받았다.

 

목회 자문을 해주는 평신도가 있다고 응답한 목회자는 전체의 12%에 그쳤다.

 

49세 이하(16%)의 목회자가 다른 연령대인 50대(11%), 60대 이상(10%)에 비해 평신도로부터 자문을 더 많이 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느 형태든 피드백을 받고 있는 목회자에게 향후 출석 교인 수가 증가할지에 대해 물은 결과, 71%가 ‘증가할 것 같다’고 답했다.

 

한편 전체 개신교인 중 ‘교회 내 수평적인 문화가 있다’는 문항에 대해 동의한 비율은 31%로 집계됐다.

 

교회 사역에 대한 평가가 주기적으로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29%가 ‘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목데연 관계자는 “피드백은 제공자와 수용자의 상호 이해, 교감, 자유로운 분위기가 필요한데 목회자가 중심이 되는 교회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라며 “데이터를 활용한 정량적인 피드백은 도입해볼만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어 “설교 피드백 같은 정성 평가의 경우 믿을만한 목회 선배나 전문가 수준의 평신도에게 피드백을 받는 등 본인만의 방법을 마련하는 것도 좋다”고 조언했다.

 

양예은 기자 ⓒ 데일리굿뉴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한국 세계 뉴스 목록

Total 1,663건 15 페이지
한국 세계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반복되는 이단·사이비 문제…'악순환의 고리' 끊어야 2023-03-16
"애즈베리 부흥, 이제 韓 차례…부흥의 파도 올라타야" 2023-03-13
2023년 한국 기독교인은 15%…교회 출석은 771만… 2023-03-11
한국 교회 이단집단 소속 신도는 최소 6%~ 최대 12… 2023-03-11
“이것만 보면 압니다”...JMS 가려내는 방법은? 2023-03-11
예장합동, '나는 신이다' 파장 속 "이단 대응 나설 … 2023-03-11
버지니아로 이어진 부흥의 물결…"Z세대 향한 하나님의 … 2023-03-09
2023 국회조찬기도회 104주년 3.1절 기념예배 개… 2023-03-08
한국교회, 코로나19 딛고 회복세 '완연' 2023-03-03
美 동성애자 등 LGBT, 10년간 두 배 넘게 늘어 2023-03-02
3·1운동 104주년…한국교회 '헌신·회복·일치' 다짐 2023-03-01
챗GPT, 동성애 옹호 이유가 설립자 취향? 2023-02-25
“에즈베리, 내 생애 다시 경험할 수 없는 부흥의 현장… 2023-02-25
한국 선교사는 169개국 22,204명…단기선교사는 4… 2023-02-25
크리스천 대학생, 42%는 '가나안 성도'…크리스천 대… 2023-02-25
“국민 80%, 목사의 정치 참여 원치 않아” 2023-02-18
기독교, '친근감'과 '호감도'에서 불교와 가톨릭에 뒤… 2023-02-18
가장 오래된 히브리어 성경책 …최고가 달성 '주목' 2023-02-16
한기총 28대 대표회장 정서영 목사 선출 “한기총 정상… 2023-02-14
신학생 보는 성경주석 앱, 알고보니 이단이 개발 2023-02-14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