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를 떠나도 하나님을 찾는 사람들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페이스 상패 해피바잉 이희상 로제 자동차바디


뉴스

교회를 떠나도 하나님을 찾는 사람들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4-25 17:29

본문

[150자 요약] 미국 교회 출석률은 감소했지만, 여전히 절반 이상의 비종교인들이 신이나 초월적 존재를 믿고 있으며, 천국과 지옥에 대한 믿음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이는 세속화가 전면적인 것은 아니며, 오늘날 복음을 새롭게 전할 기회가 여전히 열려 있음을 보여준다.

 

f57c1775748f3274e80f881e91cf2b1d_1745616589_43.jpg
 

미국 교회 출석률이 감소하고 있다는 소식은 더 이상 새롭지 않다. 1972년만 해도 미국 성인의 29%만이 일 년에 한두 번 이하로 예배에 참석한다고 답했지만, 2022년에는 그 수치가 57%로 뛰어올랐다. 교회 리더들은 빈자리가 늘어가는 현실 앞에서 깊은 고민에 빠져 있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미국이 곧장 '완전한 세속 사회'로 변하고 있다고 단정짓기는 어렵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최근 존 템플턴 재단의 프로젝트를 통해 종교적 소속이 없다고 답한 12,0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는 흥미롭다고 RNS는 보도했다. 비록 그들은 교회에 다니지 않고, 자신을 종교인이라 부르기를 주저하지만, 절반 이상이 여전히 "어떤 형태의 신"이나 "초월적인 존재"를 믿고 있다고 응답했다. 무신론을 확신하는 사람은 22%에 불과했다.

 

겉으로는 ‘비종교인’, 그러나 마음은 열려 있다

 

이러한 경향은 천국과 지옥에 대한 질문에서도 나타났다. 천국의 존재를 부정한 응답자는 28%, 지옥을 완전히 부인한 응답자는 32%에 그쳤다. "영적 존재가 존재한다고 믿는다"고 답한 이들은 여전히 다수였다. 전통적인 교회 모습에는 거리를 두지만,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갈망은 여전히 사람들의 마음 깊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조사자들은 특히 “종교”라는 단어에 대한 반감이 일부 응답자들에게 있다고 분석했다. ‘종교’는 누군가에게는 규율과 판단, 지나친 제도화로 느껴질 수 있지만, 같은 이들이 ‘영성’이나 ‘믿음’이라는 단어에는 더 열린 태도를 보였다. 이는 오늘날 신앙의 언어를 다시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세속화’라는 이름의 오해

 

많은 목회자들은 미국 사회를 덮치는 세속화의 물결을 걱정하지만, 정작 신앙을 잃었다고 여겨지는 이들조차도 신앙 공동체와 대적하기보다는, 어색하게 거리를 두고 있을 뿐이다. 교회를 떠났다고 해서, 그들의 마음에서 신에 대한 갈망이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오늘도 수많은 ‘넌즈’(nones)들은 여전히 "내가 믿는 무언가"를 찾고자 마음을 열어두고 있었다.

 

현대 사회에서 신앙 공동체가 직면한 도전은 단지 출석률 회복이 아니다. 오히려 ‘신앙은 여전히 의미 있다고 느끼지만 교회는 내 자리가 아니다’라고 말하는 이들과 어떻게 다시 연결될 것인가 하는 질문이다. 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일은 이제 더 섬세한 접근과 성찰, 그리고 관계 중심의 사역을 요구한다.

 

이러한 흐름은 우리 개신교 공동체에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 하나님을 향한 근본적인 갈망은 여전히 존재하며, 우리가 이 시대의 언어로 복음을 새롭게 들려준다면 다시금 믿음의 문이 열릴 수 있다. 세속화는 끝이 아니라, 새로운 선교의 시작일지 모른다. 우리는 여전히 소망을 품고 복음을 들고 나아가야 한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2,117건 1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미동부기아대책, 12월 7일 '후원 감사의 밤' 총력전... "후원 아동… 새글 2025-11-28
"4년간 물만 준 농부처럼"... 목회자가 견뎌야 할 '뿌리 내림'의 시… 새글 2025-11-28
"늘 먹던 한식 대신 KFC 치킨이..." 주님의 식탁에 핀 '반전' 웃… 새글 2025-11-28
칠면조와 십자가 사이, 우리가 몰랐던 추수감사절의 '불편한 진실' 10가… 새글 2025-11-26
뉴욕교협, 허연행 회장 공천안 전격 통과… 반대의 목소리도 댓글(6) 2025-11-24
화려한 쇼도, 스타 목사도 없었다… 퀸즈한인교회 안데이비 강도사가 읽어낸… 2025-11-23
제54회기 뉴욕목사회, '목사부부성가단' 창단... "가정의 울림이 세상… 2025-11-22
지역교회부흥선교회 허윤준 목사, 5년째 성탄 사모 위로예배 열어 댓글(1) 2025-11-22
‘성경의 맥’ 뚫어야 말씀이 들린다… 2026년 여는 ‘금맥 세미나’ 2025-11-22
"추수는 축복이자 곧 심판이다" 40년 맞은 사랑의 터키, 행동하는 믿음… 2025-11-22
교회 밖으로 나간 성탄 찬양, 프레이즈 그라운드 콰이어가 묻는 'Who’… 2025-11-22
뉴욕장로연합회 제15회기 마무리는 감사와 기도로 "나의 힘이신 여호와여" 2025-11-21
동부개혁장로회신학교 제39회 찬양제, "세상의 노래와 다른 구원의 기쁨" 2025-11-20
추수감사절 앞두고 전해진 붉은 사과 상자, 디모데목회훈련원의 섬김 2025-11-19
워싱턴 교계 이끌 새 리더십… 제51대 회장에 이택래 목사 만장일치 추대 2025-11-19
"양복 대신 야구모자" 美 교계 판도 바꾸는 초교파 교회의 약진 댓글(1) 2025-11-18
2026 뉴욕할렐루야대회 강사로 연예인을 초청한다면? 2025-11-18
이병준 목사 "신앙의 본질은 구호가 아닌 행동하는 믿음" 2025-11-18
뉴저지교협 39회기 출범, 권형덕 신임 회장 "먼저 그 나라를" 2025-11-18
C&MA 한인총회 동북부지역회, 정동진 목사 안수예배 2025-11-18
뉴욕교협 39대 이사회 정기총회, 교협의 든든한 후원자 역할을 감당 2025-11-17
갤럽 "미국 종교성 하락폭, 전 세계적 이례적 수준" 2025-11-15
C&MA 정재호 감독 "오늘의 '빌라델비아 교회'는 어디인가" 2025-11-15
워싱턴 교협-웨사본, 50주년 맞아 '선교사 지원' 맞손 2025-11-15
2025 앰배서더스 컨퍼런스, 브라이언 채플 박사 “행위가 아닌 십자가의… 2025-11-15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