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과 남성들이 돌아왔다, 미국 성경 읽기 반등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페이스 상패 해피바잉 이희상 로제 제이미


뉴스

밀레니얼과 남성들이 돌아왔다, 미국 성경 읽기 반등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4-14 06:23

본문

미국성서공회(ABS)가 최근 발표한 제15차 연례 ‘성경 현황(State of the Bible) 2025’ 보고서에서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다. 2021년 이후 처음으로 미국 내 성경 읽기 인구가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와 남성들의 참여 증가가 두드러져, 오랫동안 여성에 비해 저조했던 남성들의 성경 읽기 비율 격차도 좁혀졌다. 이는 교회와 사역자들에게 새로운 희망과 기회를 보여주는 결과라 하겠다.

827991592ad8b88a7281be73ae476da6_1744451771_88.jpg
▲2021년 이후 처음으로 미국 내 성경 읽기 인구가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와 남성들의 참여 증가가 두드러졌다.(AI 생성사진)

[관련기사] 

구체적인 수치를 보면, 교회 밖에서 1년에 3번 이상 성경을 읽는 ‘성경 사용자(Bible Users)’ 비율이 지난해 38%에서 올해 41%로 증가했다. 이는 약 1천만 명의 미국 성인이 더 성경을 읽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는 전년 대비 29%, 남성은 19%나 사용률이 급증하며 오랜 성별 격차를 좁히는 데 크게 기여했다. 최근 몇 년간 이 두 그룹은 성경 사용률이 가장 낮은 집단 중 하나였기에 더욱 주목할 만한 변화다.

단순히 성경을 읽는 것을 넘어, 성경과의 깊은 상호작용과 삶에 미치는 영향력을 측정하는 ‘성경 참여(Scripture Engagement)’ 지수 역시 상승했다. 특히 Z세대(11%→15%)와 밀레니얼 세대(12%→17%) 등 젊은 층의 참여 증가가 두드러졌다. 전체 미국인의 56%가 성경이나 예수님, 또는 둘 다에 대해 호기심을 느낀다고 답해 이러한 경향을 뒷받침했다. 성경에 대해 열린 태도를 보이는 이른바 '움직일 수 있는 중간층(Movable Middle)'에서는 이 비율이 82%까지 치솟았다.

흥미롭게도 미국인 절반 이상(51%)은 성경을 더 많이 읽고 싶어했다. 특히 앞서 언급한 ‘움직일 수 있는 중간층’에서는 80%가 이런 바람을 나타냈다. 성경 접근 방식은 다양했는데, 3분의 1은 여전히 인쇄된 성경만 봤지만, 3분의 2는 디지털 방식을 병행하거나 주로 사용했다. 디지털 이용자 중에서는 성경 앱(62%) 활용이 가장 높았고, 성경 관련 웹사이트나 유튜브가 그 뒤를 이었다. 디지털 시대에 맞는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성서공회(ABS)는 이번 결과가 매우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제니퍼 홀로런 회장은 15년간 미국인과 성경의 관계를 살펴본 이 연구가 교회와 사역자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존 파커 플레익 박사 역시 "성경과 예수님에 대한 사람들의 커진 호기심에 교회가 창의적으로 응답해야 할 기회"라고 강조했다. ABS는 팟캐스트, 영상 등 부가 자료와 함께 올해 말까지 매달 새로운 분석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하니, 앞으로 나올 내용들도 기대해 볼 만하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2,062건 1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한인사회 19개 단체, '이민자 보호 한인 커뮤니티 네트워크' 출범 새글 2025-11-07
7대 위기 맞선 한인 교회·단체, '공동 대응을 위한 선언문' 발표 새글 2025-11-07
PGM 신임 정책이사장에 김은범 목사, 2026년 튀르키예 대회 개최 새글 2025-11-07
AI 심층 분석: 뉴욕교협 51회 정기총회 혼란 댓글(1) 새글 2025-11-07
뉴욕교협 정기총회, 공천안 부결... '연임' 논란에 발목 댓글(1) 새글 2025-11-07
뉴욕교협 51회 총회, 재정흑자 전환 및 할렐루야대회 혁신 열매 새글 2025-11-06
"젊은 목회자들이 왜 교협에 안 나옵니까?" 뼈아픈 진단 쏟아진 51회 … 새글 2025-11-06
윤영환 목사, 뉴욕교협 총회서 "진리로 하나 되는 역사" 기도 새글 2025-11-06
"좋음을 넘어 위대한 교회로" 장충렬 목사, 뉴욕서 부흥과 전도 열정 선… 새글 2025-11-05
뉴욕교협 임시총회, '회장 연임' 헌법 개정안 최종 부결 댓글(1) 2025-11-04
"80 넘긴 선배들은 진정한 영웅"... 뉴욕목사회, 원로 초청 오찬 2025-11-04
'언처치드' 75%는 옛 교인, "예배보다 봉사 초대가 효과적" 2025-11-04
GBC, '박해받는 중국 가정교회' 돕기 특별 생방송 2025-11-03
508주년 종교개혁, 조문휘 목사 "오늘날의 개혁: 말씀, 사람, 예배의… 2025-11-03
AI 시대, '인격'이 답이다… 임흥섭 목사 신간 <나를 빚어 세상을 채… 댓글(1) 2025-11-03
"다음 세대인가, 다른 세대인가" 뉴장 김학진 목사, 신앙 계승의 안일함… 2025-11-03
"신앙 유산 위에 세운 자유" 미주 이승만 기념사업회 10차 크루즈 연례… 2025-11-01
'글로벌 리유니언 크루즈 콘서트', 선상에서 울린 감동의 메시지 2025-11-01
"4/14 세대를 선교의 동역자로" 루이스 부시 목사의 파송 축도 2025-11-01
김남수 목사, "다음 세대가 골든타임, 4/14 운동은 선택 아닌 필수 … 2025-11-01
웨스 스태퍼드 박사, "아이들은 힘이 없지만, 천국과 지옥은 그들을 주목… 2025-11-01
[4/14 나이지리아] 8천만 아동, 훈련된 사역자 절실 2025-11-01
허연행 목사 "17년 신앙교육, 대학 1년에 무너져"... '나의 하나님… 2025-11-01
[4/14 캄보디아] 킬링필드에서 리빙필드로... '예수마을' 통해 부는… 2025-11-01
[4/14 탄자니아] 36년간 850개 우물... 손광주 선교사, "아이… 2025-11-01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