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도들은 미국한인교회 10년 뒤의 미래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성도들은 미국한인교회 10년 뒤의 미래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페이지 정보

탑2ㆍ2024-05-05 06:46

본문

미주한인교회의 현황과 미래에 도움이 되는 <2024 미국한인교회 교인조사 조사결과 보고서>와 <미국 한인교회 EM사역자 대상 조사결과 보고서>가 나왔다.7387bb782b8cb98c47a1c58f48ead27c_1714905846_49.jpg
 

7387bb782b8cb98c47a1c58f48ead27c_1714906371_85.jpg
 

보고서들을 위해 CTS아메리카, 후러싱제일교회, MICA, AEU미성대학교 등이 힘을 보탰다. 목회데이터연구소가 조사를 했으며, 지용근 대표가 3개(뉴욕, LA, 시카고) 지역을 돌며 CTS방송을 통해 발표했다. 

 

1.

 

<2024 미국한인교회 교인조사 결과 보고서>는 한인이민교회의 미래에 대해 다룬다. 흥미롭게도 출석하는 교회와 전체 미국한인교회 미래를 따로 조사했다.  

 

미국에 있는 한인교회 성도들이 미래를 예측한 것을 보면서 지용근 대표는 “양가감정”이라고 표현한다. 앞으로 내가 출석하는 교회는 성장할 것 같은데, 앞으로 10년 뒤 미주한인교회 전체를 보면 후퇴한다는 것이다.

 

출석하는 교회의 앞으로 교인 수 예상은 성장 57.6%, 비슷 25.3%, 감소 10.9%를 차지했다. 절반이상 성도들이 출석하는 교회의 성장을 예상한 것이다.

 

그런데 10년 후의 전체 미국한인교회에 대한 예측은 성장 19.7%, 비슷 23.3%, 쇠퇴 54.2였다. 절반이상 성도들이 다른 혹은 전체 한인교회들의 교인감소를 예상한 것이다.

 

7387bb782b8cb98c47a1c58f48ead27c_1714905874_93.jpg
▲목회데이터연구소 지용근 대표
 

지용근 대표는 미국한인교회에 대한 예측에서 소형교회일수록, 중직을 맡은 자일수록 전반적으로 비관적인 미래를 예측했다고 발표했다. 

 

2.

 

그런데 한 가지 고려해야 할 것이 있다. 같은 발표를 놓고 LA에서는 지용근 대표와 함께 고현종 목사(디사이플교회)가 “한인교회 3040 목회전략”이라는 주제발표를 했는데 “2024 미국한인교회 교인조사 결과 보고서의 교회를 선택하는 조건 중에 교육부가 5.9% 밖 되지 않는 것은 문제가 있다”라는 통계에 대한 흥미로운 지적이 있었다.

 

고 목사는 “설문 응답자들을 살펴보니 50대 이상이 65%로, 자녀들이 교육에 신경을 쓸 나이가 아니다. 우리교회 같은 경우에는 대학생 이하 자녀를 둔 부모들이 새가족으로 오면 거의 100% 주일학교를 먼저 본다”고 설명했다.

 

비슷한 관점으로 설문 응답자를 보면, 10년 후의 미국한인교회에 대한 예측한 사람이 출석하는 교회의 교인 수는 200명 미만(149), 200~500명 미만(94), 500~1,000명 미만(181), 1,000명 이상(189)이다.

 

총 613명 중에 200명 이하의 교회 성도가 24%(149명)뿐이다. 이 비율이 과연 미국한인교회의 실제 비율과 같은가 하는 문제가 제기 될 수 있다. 당연히 작은 교회일수록 미국한인교회의 미래를 비관적으로 볼 것이다.

 

지용근 대표는 한국교회의 예를 들어 코로나 팬데믹 이후에 54%가 아직 회복 못했고, 30%가 어느 정도 회복을 했고, 부흥한 교회는 15% 정도가 된다고 발표했다. 성장하는 교회 15%를 분석해보니 먼저 교인수가 500명 이상 중대형 교회들이 성장을 했다며 양극화를 강조했다.

 

3.

 

미국에 있는 한인교회 성도들은 출석하는 교회의 앞으로 교인 수는 예상은 성장 57.6%, 비슷 25.3%, 감소 10.9%으로 절반이상 성도들이 교회성장을 예상했다.

 

7387bb782b8cb98c47a1c58f48ead27c_1714905896_92.png
▲ 향후 교인 수 예측 ⓒ2024 미국한인교회 교인조사 조사결과 보고서
 

특히, ‘70세 이상’과 ‘소그룹 정기적 참여자’ 긍정적인 평가가 높았다. 출석교회 담임목사의 연령대가 ‘50세 미만’인 교회에서는 74.5%의 높은 긍정적 미래 예측을 보였지만, 반대로 ‘60세 이상’인 교회에서는 37.3%의 낮은 긍정적 예측을 보였다. 

 

2024년 새해에 출석하는 교회가 중점적으로 강화해야 할 것은 △주일 현장예배 34.1% △교회학교 교육 29.5% △교회 공동체성 27.5% △교인들의 친교/교제 26.3% △EM사역 26.1% 등의 순이었다(1순위와 2순위의 합계).

 

미래를 위해 교회가 준비해야 할 것은 △EM과 KM사역의 활발한 교류연합 54.4% △교육부서를 위한 재정지원 강화 44.4% △20~30대를 교회의 의사결정기구에 참여시킴 27.1% △EM을 위한 공간 확보 또는 양보 24.9% 등의 순으로 응답 되었다(1순위와 2순위의 합계).

 

4.

 

10년 후의 미국한인교회에 대한 예측은 성장 19.7%(크게 9.7%, 어느 정도 10%), 비슷 23.3%, 쇠퇴 54.2(크게 13.6%, 어느 정도 40.6%)였다. 절반이상 성도들이 다른 혹은 전체 교회들의 교회감소를 예상한 것이다.

 

7387bb782b8cb98c47a1c58f48ead27c_1714905910_94.png
▲ 미국 한인교회 미래 예측 ⓒ2024 미국한인교회 교인조사 조사결과 보고서
 

전반적으로 미국한인교회의 비관적인 미래를 예측하는 상황에서 소형교회일수록 그리고 교회 운영사정을 잘아는 교회에서 중직을 맡은 자일수록 비관적인 예측은 더욱 짙어졌다.

 

지역적으로 시카고 68.6%, 뉴욕과 뉴저지 58.3%, LA 52.3%, 아틀란타 21.5% 순으로 미국한인교회 미래에 대해 비관적이었다. 아틀란타 지역만 63%가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여 온도가 달랐다.

 

미국 한인교회가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한 이유는 △이민자들의 영적인 갈급함 충족 32.3% △이민자들을 위한 공동체 필요성 32.0% △한인교회 목회자들의 성장시키고자 하는 열정 18.1% △이민자들의 디아스포라 선교의식과 사명감이 높아서 15.7%로 응답되었다.

 

7387bb782b8cb98c47a1c58f48ead27c_1714905927_16.png
▲미국 한인교회가 쇠퇴할 것이라고 예측한 이유 ⓒ2024 미국한인교회 교인조사 조사결과 보고서
 

미국 한인교회가 쇠퇴할 것이라고 예측한 이유로 △이민자와 유학생 감소 25.5% △교회가 시대변화 흐름에 따라가지 못함 21.1% △이민교회 교인의 신앙 약화 19.7% △세속화 17.9%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5.

 

지용근 대표는 미국한인교회가 쇠퇴할 것이라고 예측한 가장 큰 이유인 “이민자와 유학생 감소” 만큼은 아니지만, 한국에서 온 기업인과 유학생 중에 상당수가 미국에 계속 거주하는 비율이 높다는 비공식 통계가 있다고 소개했다. 특히 아틀란타 같은 지역이 그렇다.

 

지용근 대표는 미국한인교회 쇠퇴 이유 1위 ‘이민자와 유학생 감소 25.5%’와 2위 ‘교회가 시대변화 흐름에 따라가지 못함 21.1%’는 표본오차 안에 들어가는 순위라며, 교회가 시대변화 흐름에 따라가지 못하는 것만 혁신하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교회이탈을 방지하고 새로운 사람 유입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도전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671건 5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30년 찬양 외길 ‘어부들의 찬양’, 뉴욕의 밤을 은혜로 적시다 2025-06-14
요셉장학재단, 2025 요셉장학생 10명 신청받아/마감 7월 5일 2025-06-13
육민호 총회장 "하나님은 여성을 생명의 통로, 구원의 도구로 사용" 2025-06-13
한일철 총회장, 간증으로 전한 순종 “하나님의 계획은 내 생각 너머에” 2025-06-13
제17회기 미주한인여성목회자협의회 시무감사예배 및 취임식 “오직 성령으로… 2025-06-12
새 총재 발 씻긴 현 총재, 감동과 자랑의 C&MA 총회 2025-06-12
김재열 목사 "내 뜻으로 1년 헤매다, 주님 뜻에 순종하니 3일 만에~" 2025-06-12
포스트잇에 담긴 시니어 110명의 외침, “사명에는 은퇴가 없다” 2025-06-12
“시니어가 살면 교회가 산다” 패러다임 전환을 외치다 2025-06-12
고 해봉 김종환 목사의 1주기 추모식과 출판기념예배 6/22 2025-06-12
뉴저지교협, AWCA SAT 프로그램 통해 차세대 인재 양성 기대 2025-06-12
남침례회, 여성 목사 금지 헌법 개정안 또다시 부결 2025-06-12
이용걸 교수, "영원한 것을 위해 영원하지 않은 것을 버리라" 2025-06-11
구조조정과 새 리더십, 미래를 향한 RCA총회의 선택 2025-06-11
지난 10년간 가장 빠르게 성장한 종교는 이슬람 2025-06-11
찬양으로 하나된 형제들, 뉴욕·남가주 장로성가단 6/15 연합무대 2025-06-10
10년간 세계 기독교인 늘었지만, 세계 인구 비중은 29%로 감소 2025-06-10
한인 청소년, 한국보다 신앙 성숙도·정신건강 월등 2025-06-10
소망교회, 니카라과 선교 후원 위한 ‘찬양 축제’ 개최 2025-06-10
타임스퀘어를 울린 찬양, '프레이즈 그라운드'의 복음 선포 2025-06-10
“예수께서 나를 보내어” 동부개혁장로회신학교, 제36회 졸업예배 2025-06-09
타임스퀘어에 넘겨진 복음의 바통, 뉴욕·뉴저지 교계가 응답할 차례 2025-06-09
UMC 최초 구소련 선교사 조영철 목사, 은퇴 예배 열려 2025-06-08
뉴욕 타임스퀘어, 2천여명의 '어메이징 그레이스' 울려 퍼져 2025-06-08
세대와 민족 함께한 퀸즈장로교회 선교바자회, 캄보디아 선교의 든든한 발판 2025-06-08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