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출석률, 여성 첫 추월… 미국 교회의 빛과 그림자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페이스 상패 해피바잉 이희상 로제 제이미


뉴스

남성 출석률, 여성 첫 추월… 미국 교회의 빛과 그림자

페이지 정보

탑2ㆍ2025-10-08 00:16

본문

교회 가는 'MZ남성'과 '결혼한 아빠'

교회에 등 돌린 '젊은 여성'과 '싱글맘'


[기사요약] 바나그룹 연구 결과, 미국 교회 남성(43%) 출석률이 여성(36%)을 사상 처음 앞질렀다. MZ세대 남성들이 변화를 주도하는 반면, 여성들은 번아웃과 가부장적 문화 등으로 교회를 떠나고 있다. 특히 '결혼한 아빠'의 참여는 급증했으나 '싱글맘'은 소외되며, 미국 교회의 새로운 빛과 그림자를 동시에 보여준다.

 

a3e8649d448e95aaff041e26c32f34d1_1759896981_42.jpg
▲ 남성 출석률이 여성을 추월한 미국 교회 (AI사진)

 

수십 년간 미국 교회의 문턱을 더 자주 넘었던 것은 여성이었지만, 이제 그 공식이 깨졌다. 팬데믹 이후 남성들의 교회 출석률이 여성을 유의미하게 앞지르기 시작했으며, 그 격차는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 이는 단순히 교인 성비가 바뀌는 것을 넘어, 미국 교회의 구성과 문화, 그리고 미래의 목회적 과제가 근본적으로 재편되고 있음을 알리는 중대한 신호다.

 

바나그룹(Barna Group)이 최근 발표한 '교회의 현주소(State of the Church)' 연구는 이 역사적 변화를 정밀하게 포착했다. 2025년 기준 매주 교회에 출석한다고 답한 남성은 43%에 달했으나 여성은 36%에 그쳤다. 7%p에 달하는 이 격차는 관련 데이터 추적 이래 가장 큰 수치다.

 

이 현상은 남성들의 참여가 늘어난 긍정적 측면과 함께, 오랫동안 교회의 기반이었던 여성들이 왜 교회와 거리를 두게 되었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질문을 던진다.

 

수십 년 공식 깨뜨린 '역사적 역전'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여성의 주일 예배 참석률(47%)은 남성(38%)보다 월등히 높았다. 하지만 지난 25년간 여성의 출석률은 꾸준히 하락세를 보인 반면, 남성의 출석률은 안정세를 유지하다 최근 급증하며 수십 년 만에 처음으로 여성을 추월하는 역전을 이뤄냈다. 

 

특히 변화의 중심에는 젊은 세대가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 교회 참여가 가장 저조했던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가 이제는 가장 적극적인 그룹으로 부상했으며, 이 흐름을 젊은 남성들이 주도하고 있다. 반면, 과거 교회의 주축이었던 베이비붐 세대, 특히 여성들의 참여는 눈에 띄게 둔화했다.

 

여성들은 왜 교회를 떠나는가?

 

남성들의 참여 증가라는 빛 이면에는 여성들의 이탈이라는 그림자가 있다. 전문가들은 젊은 여성들이 교회를 떠나는 이유로 네 가지 복합적 요인을 지목한다.

 

첫째, 일과 돌봄의 과도한 부담으로 인한 번아웃이다. 교회 활동이 영적 안식처가 아닌 또 다른 의무로 느껴진다는 것이다. 둘째, 독신 여성이 증가하는 사회 변화와 핵가족 중심의 교회 문화 사이의 괴리감이다.

 

셋째, 여성 리더십을 제한하는 등 가부장적 교회 구조와의 문화적 불일치다. 마지막으로, 남성 목회자들의 잇따른 리더십 스캔들과 위선이 여성들의 신뢰를 결정적으로 무너뜨렸다. 데이비드 킨나만 바나그룹 CEO는 "도덕적 실패 사례가 반복될 때 여성들의 환멸은 깊어진다"고 분석했다.

 

'결혼한 아빠'는 교회로, '싱글맘'은 밖으로

 

이러한 성별 격차는 부모 그룹 내에서 더욱 극명하게 나타난다. 오늘날 자녀를 둔 부모 중 가장 꾸준히 교회에 출석하는 그룹은 '결혼한 아빠'들로, 이는 자녀 신앙 교육을 엄마가 주도한다는 통념을 뒤집는 결과다.

 

반면, '싱글맘'의 주간 출석률은 24%로 모든 부모 그룹을 통틀어 가장 낮았다. 이는 교회가 한부모 가정, 특히 더 큰 어려움을 겪는 싱글맘들에게 실질적인 지지와 공동체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미국 교회의 출석률 변화는 단순한 회복이 아닌 '재편'에 가깝다. 다니엘 코플랜드 바나그룹 부사장의 말처럼, "문제는 단지 남성들이 더 많이 나오는가에 그치지 않고, 왜 여성들이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가에 있다."

 

남성들의 새로운 참여를 환영하는 동시에, 여성들, 특히 가장 연약한 이들의 필요를 채우고 있는지 돌아보는 지혜로운 성찰이 미국 교회 앞에 놓여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2,053건 8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박윤선 목사 “총기, DACA부터 북한 지하교회까지” 시대의 아픔 끌어안… 2025-09-20
거리로 나선 2025 할렐루야대회, 복음과 함께 지역 경제에 활력을 2025-09-20
열린문장로교회 L3 컨퍼런스…삶(Life), 갈망(Longing), 경청… 2025-09-20
뉴욕 목회자들, 한국 순교 영성 따라 11일간의 순례길(2) 2025-09-20
1세와 1.5세 연합의 선포… 2025 뉴욕 할렐루야복음화대회 막 올라 댓글(1) 2025-09-20
김한요 목사, “이민자의 고난은 하나님의 ‘합격 도장’ 받는 기회” 2025-09-20
2025 할렐루야 청소년대회, 프라미스교회 에셀 채플 가득 메운 부흥의 … 2025-09-19
2025 할렐루야 어린이대회, ‘거듭남’의 복음으로 뜨겁게 타오르다 2025-09-19
사역을 떠나는 목회자들의 진짜 이유…라이프웨이 리서치 심층 분석 2025-09-19
패터슨의 등불 하나선교회, 한인 교회와 사회에 손을 내밀다 2025-09-18
뉴저지목사회 제16회 정기총회, 사랑의 후원금 전달로 훈훈함 더해 2025-09-18
더나눔하우스, 전인화·중독상담 교육으로 새 삶의 길 열다 2025-09-18
이웃이지만 다른 신앙 지도: 퓨리서치가 본 뉴욕과 뉴저지 2025-09-18
미국인 73%의 단호한 외침 "AI, 신앙의 선을 넘지 말라" 2025-09-18
뉴욕목회자들, 순교 영성 따라 제주에서 베트남까지 2025-09-18
조지아센추럴대학교, 뉴저지 캠퍼스 이전…글로벌 인재 양성 박차 2025-09-18
새 리더십 세운 미남침례회 뉴욕한인지방회, 연합과 제자도 향한 다짐 2025-09-17
뉴욕동노회 제97회 정기노회, 기도와 연합으로 사역의 문 열다 2025-09-17
KAPC 뉴욕노회 제97회 정기노회 “문제 속 평안, 하나님께 소망 둘 … 2025-09-16
복음 위해 생명 아끼지 않은 김진관 목사, 하나님의 부름 받다 2025-09-16
40년 숙원 풀었다…안나산 기도원, 은혜의 자리로 향하는 '새 길' 열다 2025-09-16
제73회 해외한인장로회 뉴욕노회, 50회 총회 준비에 나선다 2025-09-16
'사라지는 Z세대'… 김진우 목사, 미디어 선교로 다음세대의 문을 두드리… 2025-09-16
홍민기 목사 "교회 부흥의 가장 큰 걸림돌은 바로 나 자신" 2025-09-15
김명옥 목사, ‘하나님과의 사귐’ 5단계 여정 제시 - 앎, 믿음, 변화… 2025-09-15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