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무종교화 및 무소속 가속, 36%가 개신교 무소속 성도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미국 무종교화 및 무소속 가속, 36%가 개신교 무소속 성도

페이지 정보

교계ㆍ2021-03-30 10:11

본문

미국인에게 신을 믿느냐고 물으면 미국인 대부분이 그렇다고 말할 것이다. 하지만 그러나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조직화 된 종교에 속하지 않고 있다. 갤럽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1930년대 후반 이후 처음으로 미국인의 절반 미만이 교회, 회당 또는 모스크 등 종교기관에 회원으로 속한다고 답했다. 

 

371bc051c77c3f5b7f257425147ac1f7_1617113446_11.gif
 

현재 미국인의 47%만이 자신이 특정 종교 기관에 회원으로 속해 있다고 말한다. 갤럽이 첫 조사를 시작한 1940년의 73%이래 대부분의 기간 동안 회원 수는 약 70%에 머물렀지만 1999년 이후 급속도로 감소하기 시작했다. 2010년 61%, 2019년 50%로 계속 종교 회원 수가 감소하고 있다.

 

종교 회원의 감소는 선호하는 종교가 없다는 소위 ‘nones’의 증가와 일치한다. 그들은 “당신의 종교적 전통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에 “nones”이라고 대답하는 그룹이다. RNS가 2019년 보도한 자료에 따르면 “nones” 그룹은 23.1%로 개신교 중 복음주의 그룹 22.5%나 가톨릭 23% 보다 비슷한 세력을 가지고 있다.

 

종교적 선호도가 없어도 종교기관에 회원이 되는 비율도 줄어들고 있다. 갤럽의 보고서에 따르면, ‘nones’ 그룹이지만 특정 종교 그룹에 회원으로 속할 가능성이 1998년과 2000년 사이의 10%였으나, 2018~2020년 조사에서 4%로 감소했다.

 

미국인 중 ‘nones’ 그룹은 23%인 반면, 자신이 특정 종교라고 답한 그룹은 약 76%였다. 그런데 ‘nones’에 속한 비종교인이 늘어나고 있는 것도 문제이지만, 자신이 특정 종교라고 했지만 그 특정 종교의 회원이 되지 않는 소위 가나안 성도들이 늘어나는 것도 문제이다.

 

자신이 특정 종교라고 대답한 미국인 중 1998년부터 2000년에는 73%가 어느 종교기관의 회원이었지만 이제 그 숫자가 60%로 떨어졌다. 기독교로만 범위를 줄여서 보면 자신이 개신교인이라고 하고 교회에 회원으로 속하는 비율이 73%에서 64%로 줄었으며, 가톨릭은 더 감소를 보여 76%에서 58%로 줄었다. 즉 개신교인 가나안 성도의 비율이 36%나 되는 것이다. 

 

371bc051c77c3f5b7f257425147ac1f7_1617113457_77.gif
 

갤럽의 보고서에 따르면 젊은 미국인들은 조직화 된 종교와 점점 더 단절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몇 년 동안 특정 종교의 회원인 노인 미국인의 수도 감소했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1945년 이전에 태어난 미국인의 73%가 특정 교인이었지만 2018년부터 2020년까지 66%로 떨어졌다. 베이비 붐 세대의 회원 수는 같은 기간 동안 63%에서 58%로 떨어졌으며, X세대(57%에서 50%)와 밀레니얼 세대(51%에서 36%)의 멤버십도 마찬가지였다.

 

갤럽은 자신을 특정 종교를 믿는 사람들이 그 종교의 회원이 되지 않는 것은 그 종교에 도전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종교기관은 계속 운영을 위한 재정과 봉사를 회원들에게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865건 73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이규본 ERTS 총장은 왜 화목과 용서를 강조했는가? 2023-02-13
제시유 교수와 앤드류 김 교수 초청 듀오 콘서트 2023-02-13
이용걸 목사, 팬데믹으로 잃어버린 양을 구하기 위해 전도집회 2023-02-13
뉴저지한인은퇴목사회 2월 정기모임 “나의 힘이 되신 여호와” 2023-02-13
월드허그재단, 대규모 설 축하행사 열고 사역 등 널리 알려 2023-02-13
이보교와 시민참여센터 제1회 ‘민권운동 역사순례’ 2023-02-13
예장(합동) 해외총회 뉴욕노회, 이상훈 강도사 인허예배 2023-02-13
이민철 교수,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개정판 출간 2023-02-13
2023 라틴아메리카 글로벌 교육대회 “500달러의 기적” 2023-02-11
뉴욕 교협과 목사회 등 튀르키예 지진재해 성금 모금 앞장서 2023-02-11
이보교, 뉴욕에 온 난민들에게 ‘빅 허그’ 캠페인 큰 성과 2023-02-11
두나미스 신학대학교, 제2회 두나미스 가족의 밤 2023-02-11
언제까지 퐁당퐁당 뉴저지 청소년 호산나대회를 할 것인가? 2023-02-11
팰리세이드교회, 제6대 이창성 담임목사 위임식 및 임직예배 2023-02-05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미동부동문회 2023년 신년예배 및 하례회 2023-02-05
제3회 투산영락교회 목회자 세미나 3월 27일 개최 2023-02-05
국가조찬기도회 회장 이봉관 장로 “우리 기업의 주인은 하나님” 2023-02-05
후러싱제일교회, 우크라이나 등 난민위해 총 10만 달러 지원 댓글(1) 2023-02-03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미주동부 동문회 2023년 신년하례 및 정기총회 2023-02-03
뉴욕우리교회가 제1회 독실 민족 사생대회를 여는 사연 댓글(1) 2023-02-03
월드허그재단 설 축하행사 및 뉴욕엘피스선교회와 MOU 체결 2023-02-03
36회기 뉴저지교협, 신년하례 통해 역대급 행사일정 발표 2023-02-02
한기부 미주본부 2023년 신년 감사예배 및 하례식 2023-02-02
미동부국제기아대책기구 정기총회, 회장 연임 2023-01-26
뉴욕장로연합회, 신년감사예배 드리고 바쁜 2023 사업계획 발표 2023-01-25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