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는 1위, 성직자는 10위…미국 직업 신뢰도 순위의 비밀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페이스 상패 제이미 제이미혜택


뉴스

간호사는 1위, 성직자는 10위…미국 직업 신뢰도 순위의 비밀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1-21 09:34

본문

갤럽이 2025년 신년이 시작되며 발표한 통계가 목회자들에게 도전을 준다. 

 

1.

 

갤럽의 ‘미국인의 직업에 대한 정직성과 윤리 평가’ 조사발표에 따르면, 미국인의 30%만이 성직자의 정직성과 윤리 수준이 높다고 답했다. 또 42%는 보통이며, 20%는 낮다고 평가했다.

 

a9a8d6d773ace89f49e86dbda7589125_1737470069_11.jpg
 

갤럽의 지난 조사에 따르면, 성직자들의 신뢰도는 2008년 56%였으나 계속 하락 추세를 보이다가 2024년에는 26%가 떨어진 최저치인 30%가 되었다. 성직자들의 하락의 비율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 가장 높았다. 라이프웨이에 따르면, 이전 미국인들은 목사를 가장 높은 존경의 대상으로 여겼으며 1985년에는 67%, 90년대에는 50% 이상을 유지했다.

 

갤럽은 신뢰도 하락의 원인을 종교적이지 않은 미국인의 증가와, 가톨릭교회의 아동성적 학대스캔들 등 성직자들의 문제들이 성직자 신뢰의 하락에 기여한 것으로 보았다.

 

2.

 

성직자들의 신뢰도는 감소했지만, 갤럽이 조사한 23개 그룹 중에 성직자는 10위를 차지했다. 2024년 전통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직업군은 간호사(79%), 초등학교 교사(61%), 군 장교(59%), 약사(57%), 의사(53%) 순이다. 다음으로 높은 그룹은 경찰관(44%), 보육원 직원(42%), 장의사(37%), 자동차 정비사(33%), 성직자(30%), 판사(28%) 등이다.

 

부정적인 평가가 높은 그룹은 은행원(23%), 요양원 운영자(21%), 지방 공무원(20%), 변호사(17%), 신문기자(17%), 주정부 공무원(14%), 기업 임원(12%), 광고 전문가(8%), 자동차 판매원(7%) 등이다. 부정적 평가가 가장 높은 그룹은 TV 리포터(긍정 13% 대 부정 55%), 의회의원(긍정 8% 대 부정 68%), 로비스트(긍정 4% 대 부정 68%) 등이다.

 

3.

 

그룹에 따라 성직자들을 신뢰하는 온도가 다르다. 백인(37%)들은 비백인(20%)들보다, 공화당원(46%)은 무소속(24%)이나 민주당원(25%)보다, 나이가 많을수록(18~34세 20%, 35~54세 28%, 55세 이상 38%) 성직자들을 신뢰하는 비율이 높다.

 

소득과 학력에 따라서도 다르다. 소득이 10만 달러를 넘는 사람들(40%)은 5만 달러 이하 사람들(27%) 보다, 대학원 졸업자(40%)는 고등학교 졸업이하 학력을 가진 사람(20%)보다 성직자들을 신뢰하는 비율이 높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누지문서님의 댓글

누지문서 ()

간호사는 신뢰도 1위 , 성직자는 10위 ?
OMG ~
이 여론조사의 오차 범위와 정확도가 궁금합니다.

아멘넷님의 댓글

아멘넷 댓글의 댓글 ()

출처: https://news.gallup.com/poll/655106/americans-ratings-professions-stay-historically-low.aspx
오차 범위와 정확도
the margin of sampling error is ±4 percentage points at the 95% confidence level.

누지문서님의 댓글

누지문서 댓글의 댓글 ()

신속 정확한 도움에 감사를 드립니다.
이정도의  오차 범위와 정확도라면 기사 내용이 사실이라는 것이며
 이는 예상했던 성직자의 신뢰도보다 훨씬 악화된 현실입니다.
과연 이 신뢰도의 실추를 회복할 가능성이 있을런지 심히 궁금합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뉴스 목록

Total 11,149건 415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성경의 맥을 잡아라"는 가고 “어? 성경이 읽어지네!”가 왔다. 2006-08-03
미주한인장로회(KPCA) 신학교 학장 한세원 목사 인터뷰 2006-08-02
진돗개 전도왕 박병선 "하나님! 저 빈자리를 채우겠습니다" 2006-07-30
“어? 성경이 읽어지네!” 뉴욕성경일독학교 열려 2006-07-30
조정칠 목사 “진실한 청지기는 누구인가?” 2006-07-26
개리 애커맨 미 연방하원의원 “북한의 종교 및 인권탄압” 2006-07-25
박병선 진돗개 전도왕 인터뷰 "전도핍박을 이겨낸 방법 - 보혈 넥타이" 2006-07-25
한 여성 언론인이 본 개신교인의 후퇴의 이유 2006-07-25
국제제자훈련원 김명호 대표 "건강한 교회가 되려면 3M 필요" 2006-07-23
퀸즈한인교회 37주년 “새로운 시대의 도전이 우리에게 있다” 2006-07-23
"종교이민 신청자 3분의 1은 가짜" 한인교회의 실상은? 2006-07-22
박수웅 장로 “크리스찬의 결혼과 성“ 2006-07-22
뉴욕사회에 40대 한인목사의 영화같은 기구한 사연이 알려져 2006-07-18
2세들의 한국말 성경이야기 대회 열려 2006-07-17
박성모 목사 “한국교회여 다시 나라” 2006-07-17
베이사이드 장로교회 2006 특별 새벽부흥회 2016-12-20
뉴욕한인침례교지방회, 개척교회 지원위한 "침례교인의 밤" 2006-07-16
둘로스 찬양팀(대표 오종민 목사)는 2006년 7월 16일(주일) 오후 … 2006-07-16
와이엠 코너스톤, 29명의 제자들을 세상으로 내보냈다. 2006-07-13
방지각 목사 “목회를 잘 하는 방법” 2006-07-11
미주한인장로회신학대학 제 25회 졸업 예배 및 학위 수여식 2006-07-09
2006 청소년할렐루야대회 폐막 "너희들은 오직 우리의 희망" 2006-07-08
2006년 할렐루야대회 위로회 "연합사업은 양파와 같다" 2006-07-07
2006 청소년 할렐루야대회 개막 "대단한 대회" 2006-07-06
"한인이민교회 거듭나라" 아멘넷 편집위원 좌담회 2006-07-06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