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지일 교수 “인터콥의 교회내 활동에 대해 경계”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탁지일 교수 “인터콥의 교회내 활동에 대해 경계”

페이지 정보

탑2ㆍ2022-08-23 03:04

본문

뉴저지교협은 8월 22일 월요일 오후 8시에 “코로나시대의 이단 트렌드”라는 주제로 온라인 이단/사이비 세미나를 열었다. 강사는 탁지일 교수(부산장신대교수, 월간 현대종교 이사장 겸 편집장)이다. 

 

탁지일 교수는 하나님의교회(안상홍)와 신천지에 초점을 맞추어 세미나를 인도해 나갔으며, 최근 아베 일본 전 총리의 총격으로 화제가 된 통일교와 한국과 한인 교회에서 활동 중인 인터콥에 대하서도 정보를 나누었다.

 

탁지일 교수는 인터콥이 이단으로 규정은 안되었지만, 교인들의 신앙생활의 중심을 교회에서 멀어지게 한다면 다른 이단과 다른 점이 무엇인가라고 반문하며 경계를 했다. 특히 탁지일 교수는 캐나다에서 공부할 때에 섬긴 교회가 인터콥 문제로 교회가 분열되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다음은 관련 발언 내용이다.

 

9435d7d19c81b665a9756342ab6e0200_1661238225_93.jpg
▲줌 화상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세미나를 인도하는 탁지일 교수
 

9435d7d19c81b665a9756342ab6e0200_1661238240_23.jpg
▲이단/사이비 세미나 관련화면 캡처
 

여러 교단들이 인터콥에 대한 결의 내용을 보면 이단으로 완전히 결의한 교단은 없다. 인터콥과 교류를 단절하거나, 참여를 금지하거나, 참여를 제한하는 결의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인터콥은 세계각지로 교회내에서 활동하는데, 이단으로 규정은 안되었지만 조심스러운 내용이 있다.

 

인터콥에 속해 활동하는 분들은 교회 교인들이다. 교인들의 신앙생활의 중심은 예수님, 말씀, 교회이다. 하지만 때로는 인터콥 회원들에게 교회가 신앙생활의 중심이라기보다는 비전스쿨로 누군가를 데려가기 위한 리쿠르트 장소가 된다.

 

교회 목사나 지도자가 인지하지 못한 채 인터콥 단기선교를 같이 간다. 다녀오면 마음은 뜨거워지고, 신앙생활의 중심은 교회가 아니라 인터콥이 되는 경우도 많다. 그러다보면 교회안의 전통적인 조직과의 관계보다 인터콥과의 관계가 우선이 되고, 그것이 영적인 우월성으로 나타나게 되었을 때는 교회 안에 분란이 올 수 있다. 다락방도 그렇지만 인터콥도 교회분란의 어떤 잠재적인 위험요소가 되는 사안들이 많이 보인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을 통해서도 인터콥의 문제점들이 드러나기도 했지만, 저는 통합교단 목사인데 통합교단에서도 이제 인터콥에 대한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다.

 

선교적인 열정은 인정한다 할지라도 교인들의 신앙생활의 중심이 예수와 말씀과 교회로부터 멀어지게 한다면, 교회가 신앙생활의 장소가 아니라 새로운 인터콥 회원을 모집하는 장소로 변질된다면, 다른 이단들처럼 예수와 말씀과 교회 중심으로부터 성도들을 데리고 나아가고 분란이 일어나는 것과 어떤 다른 점이 있을까 하는 고민을 하게 된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2,027건 3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청년만 붙잡으려다…'조용한 탈출' 노년 성도를 놓치고 있다 댓글(2) 2025-10-16
절차 논쟁에 발목 잡힌 뉴욕교협 임시총회, 헌법 개정안 모두 보류 2025-10-16
지난 6월 뉴저지 열기 잇는다…장충렬 목사, 뉴욕서 목회자 세미나 개최 … 2025-10-16
뉴저지통일리더십포럼, '한반도선교' 새 패러다임 제시 예고 (10/23) 2025-10-16
김하진 목사 “예수는 10대 제자들에게 교회를 맡겼다… 청소년의 잠재력을… 댓글(1) 2025-10-16
세계 하나님의성회 지도자들 뉴욕 집결, ‘100만 교회 개척’ 비전 박차 2025-10-16
AYC, 37주년 기념 음악회… 11월 9일 다양한 무대 선보인다 2025-10-15
미국 목사 절반 "경제난으로 교회 재정 어렵다" 2025-10-14
김정호 목사 "플러싱은 미래의 선교적 허브, 새로운 사명 감당해야" 2025-10-14
후러싱제일교회 50주년 감사예배 "상처와 영광 모두가 하나님의 은혜였다" 2025-10-14
박병섭 목사 "목회자의 권위, 세상 아닌 하늘로부터 온다" 2025-10-13
동부개혁장로회신학교 총동문회 제36회 정기총회, 신임회장에 정인수 목사 2025-10-13
단기선교, 그 후… C&MA 한인총회, 과테말라 청년 온라인 제자양육 새… 2025-10-13
춤의 언어로 다음세대가 연합하다, ‘DWF 2025’ 페스티벌 성료 2025-10-13
세대와 대륙을 넘어 ‘오직 주께 영광’… 2025 월드밀알찬양대축제, 감… 2025-10-13
믿음의 유산 잇는 헌신자들… 롱아일랜드성결교회, 41주년 맞아 새 일꾼 … 2025-10-13
퀸즈한인교회 영어권 컨퍼런스에 500여명 몰려… Z세대의 역설적 외침이 … 2025-10-12
국가원로회의, 방지각 목사 구순과 변종덕 장로 회혼 감사와 축하예배 2025-10-11
"살려주시면 목사 되겠다" 강물 속 소년의 서원, 방지각 목사 90년 삶… 2025-10-11
변종덕 장로의 눈물 고백 "내 225만 불은 떡 두 개의 빚을 갚는 것이… 2025-10-11
'아덴만 영웅' 조영주 제독과 함께…손원일 선교 재단, 미주본부 창립 예… 2025-10-11
[종합] 애즈베리 불씨 품은 뉴욕 교사부흥회, ‘회막의 영성’을 깨우다 2025-10-11
강단은 눈물로 젖었다… 뉴욕 교사들, 세 가지 기도로 사명 붙들다 2025-10-11
Z세대는 왜 애즈베리로 달려갔나? 김하진 목사가 전한 부흥의 현장 2025-10-11
허연행 목사 “뉴욕에 불이 붙었다” …에즈라 교사부흥회, 희망을 쏘다 2025-10-11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