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과 뉴저지 교회들, 몇 명까지 예배가 가능한가?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뉴욕과 뉴저지 교회들, 몇 명까지 예배가 가능한가?

페이지 정보

교계ㆍ2020-11-16 22:16

본문

미국 내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각 주정부들의 제한이 다시 시작되고 있다. 

 

뉴욕주는 11월 13일부터 식당 등은 매일 오후 10시부터 오전 5시까지 문을 닫아야하며, 개인 가정의 모임은 10명 이하로 제한했다. 

 

9a14a6b5a58cf46c643bc50c80accbc5_1605582992_74.jpg
 

뉴저지 머피 주지사는 17일(화)부터 실내 및 실외 수용 능력 한도를  낮추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실내모임은 25명에서 10명으로, 야외 모임은 500명에서 150명으로 제한을 늘렸다. 이는 뉴저지의 코로나 양성율이 9% 이상으로 치솟았으며, 지난 3월 이후 코로나19 확진자의 5%가 지난 4일 동안 발생할 정도로 재확산 상황이 심각해진 것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교계가 관심을 가지는 예배 제한인원은 다르다. 발표에 따르면 예배 실내 모임은 150명 또는 예배당 수용인원의 25% 중 더 적은 수로 제한된다. 야외 예배는 인원제한이 없다. 결혼식과 장례식도 마찬가지이다.

 

https://covid19.nj.gov/faqs/nj-information/reopening-guidance-and-restrictions/how-can-people-safely-get-together-what-are-the-limits-for-indoor-and-outdoor-gatherings

 

지난 6월에 필 머피 뉴저지 주지사는 예배당의 수용인원의 25% 또는 50명 중 적은 수로 실내 예배가 가능하다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만약 400명이 들어가는 예배당이 있으면 25%인 100명이 아니라 50명만 예배가 가능했다.

 

그런데 17일(화)부터 “150명 또는 예배당 수용인원의 25% 중 더 적은 수”라는 제한이 주어지면, 이제는 400명 수용 예배당은 50명이 아니라 100명이 예배가 가능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뉴욕도 혼란스러운 것은 마찬가지이다. 쿠오모 뉴욕주지사는 10월 6일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뉴욕주 일부 지역을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으로 분류하고 새로운 제한을 발표했다. 빨간색 지역 예배는 수용인원 25%나 최대 10명까지, 주황색 지역 예배는 수용인원 33%나 최대 25명까지, 노란색 지역 예배는 수용인원 50%까지 예배가 가능하다.

 

그렇다면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지역이 아닌 제한이 없는 뉴욕지역의 예배 인원제한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생긴다. 적어도 수용인원 50% 이상이 될 것이라는 상식이 가능하며 이는 이전에 아는 수용인원 25%나 33% 제한과 확실히 다른 내용이다.

 

이런 혼란을 해결하기위해 지역 교협들이 나서 확실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856건 3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찬양으로 로마에 복음을! 뉴욕장로성가단, 출정 감사예배 드려 2025-09-03
"세속화 3단계"... 미국은 2단계, 한국은 3단계 진입 2025-09-03
미국 교회 지각변동: Z세대, 가장 충성스러운 출석자로 부상 2025-09-03
동부개혁장로회신학교 개강부흥회, 박용규 목사 "기도 외에는 다른 길이 없… 2025-09-03
김양재 목사의 ‘THINK 세미나’ 뉴저지 상륙(9/16), 가정과 교회… 2025-09-03
뉴욕조이풀콰이어, 제11회 정기연주회…싱글맘 위한 희망의 노래 2025-09-03
"나를 알아야 사역이 성장한다" 목돌선, 자기인식 프로그램 개설 2025-09-02
"솔직히 부끄럽습니다"… 한준희 뉴욕목사회장, 뼈아픈 회개의 기도 2025-09-02
"잠든 교회를 깨우소서"… 전희수 목사, 뉴욕 교계의 영적 각성 위해 부… 2025-09-02
"사라지는 다음세대"… 임영건 목사, 눈물의 회개로 부르짖다 2025-09-02
뉴욕 할렐루야대회의 두 과제, ‘담임목사의 문’과 ‘재정의 후원’ 2025-09-02
정체된 교회 vs 성장하는 교회, ‘미래’를 대하는 태도가 달랐다 2025-09-02
데이터가 밝힌 교회 성장의 비밀, 해답은 ‘내부 동력’에 있었다 2025-09-02
박춘수 목사, “갈등, 성경적 리더십으로 돌파해야” 2025-09-02
한필상 목사, 흔들리는 세상 속에서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설교전략 2025-09-02
교회 붕괴의 시대, 이영문 목사가 제시한 해법 ‘원형 복음’ 2025-09-02
쇠락한 탄광 도시 스크랜턴의 경고 “한인교회는 박물관이 될 수 없다” 댓글(1) 2025-09-02
이찬수 2025 뉴욕 (8) 사역의 본질 “기능이 아닌 관계로” 2025-09-01
이승희 목사, 뉴욕에 던진 ‘회복과 기적’의 메시지 2025-09-01
용서의 기도에서 부흥의 기도로, 허윤준 목사의 21일 여정 댓글(1) 2025-09-01
이찬수 2025 뉴욕 (7) ‘행복과 노욕 사이’ 뉴욕 목회자들과 나눈 … 2025-08-31
‘살아 움직이는 교회’ 세미나, 교회의 본질을 향한 몸부림 2025-08-31
할렐루야대회 앞두고 거리에서 땀 흘린 뉴욕교협 임원들 2025-08-30
뉴욕교계 ‘엘리에셀 프로젝트’, 첫 만남에서 5쌍 연결…가을엔 더 큰 만… 2025-08-30
"은혜 위에 은혜는 오역"… 선우 권 목사, 원어풀이 부흥 전략 공개 2025-08-30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