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목회자가 없다' 미국과 한인 교회의 시한폭탄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다음 목회자가 없다' 미국과 한인 교회의 시한폭탄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6-19 13:50

본문

[기사요약] 미국 개신교회의 70%는 소위 ‘작은 교회’지만, 신학교를 졸업한 젊은 목회자들은 대형교회 사역을 선호하며 부임을 기피하고 있다. 이 현상은 한인 이민교회에서 더욱 심각한 리더십 공백 문제로 나타난다. 1세대 은퇴와 2세대의 외면 속에서, 목회의 본질이 무엇인지 근본적인 성찰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d592cc1deb33cb654a4237c9f740834a_1750355438_9.jpg
▲미국과 한인 이민교회의 목회자 구인난 현실(AI 생성사진)

테네시 주에서 미국교회를 위한 목회 컨설팅 회사를 운영하는 토니 마르 목사가 요즘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는 뉴스가 한인교회와도 연결되어 관심을 끈다. 신학교를 갓 졸업한 젊고 유능한 목회자들을 청빙하려는 미국교회는 많지만, 정작 그곳에 가려는 목회자를 찾기가 ‘하늘의 별 따기’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교회가 교인 수 150명 미만, 많게는 50명 안팎의 작은 교회라는 현실의 벽 때문이다.

마르 목사에 따르면, 젊은 목회자들은 대부분 1,000명 이상 모이는 대형교회에서 부목사로 사역 경험을 쌓기를 원한다. 그들은 작은 교회에서 실제 가정을 돌보며 설교하는 기회를 얻기보다, 차라리 커피숍에서 일하며 미래에 사역할 대형교회에 자원봉사자로 남는 길을 택하기도 한다. 이는 ‘오늘의 신앙 공동체’ 조사가 보여주는 현실과 맞닿아 있다. 미국 교회의 10곳 중 7곳은 출석 인원이 100명 미만이며, 평균 출석 인원은 65명에 불과하다.

아이러니한 점은, 대부분의 교회는 작지만 대부분의 성도들은 큰 교회에 다닌다는 사실이다. 전체 교회의 9%에 불과한 대형교회들이 미국 전체 교인의 절반 가까이를 품고 있다. 소셜 미디어에서 비치는 화려한 대형교회의 이미지는 작은 교회 성도와 목회자에게 ‘우리는 실패한 것은 아닌가’라는 무력감을 안겨주며, 이는 새로운 목회자를 찾는 일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다음 세대 목회자 없다'…한인 이민교회의 현실

이러한 미국의 현실은 뉴욕과 뉴저지를 중심으로 한 미주 한인 이민교회 생태계에 더욱 아픈 상처로 다가온다. 단순한 공감대를 넘어, 이민교회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시한폭탄’과도 같은 문제이기 때문이다. 수많은 1세대 이민교회들이 개척 목사의 은퇴 시기와 맞물려 다음 세대 리더십을 찾아 헤매고 있지만, 그 과정은 험난하기만 하다.

d592cc1deb33cb654a4237c9f740834a_1750355429_24.jpg
▲미국과 한인 이민교회의 목회자 구인난 현실(AI 생성사진)

한인 이민교회의 위기는 여러 겹의 복잡성을 띤다. 우선, 1세대가 피와 땀으로 일군 교회를 이어받을 1.5세나 2세 목회자들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 미국 신학교에서 동시대의 목회 트렌드와 대형교회 모델을 학습한 이 젊은 사역자들에게, 언어와 문화가 다른 1세대 성도들을 이끌고 낡은 재정 및 행정 구조를 감당하는 것은 엄청난 부담으로 다가온다. 그들 역시 마르 목사가 언급한 젊은 목회자들처럼, 안정적인 시스템을 갖춘 대형교회의 영어목회(EM)나 부서 사역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짙다.

이는 ‘영어 목회는 거쳐 가는 과정’이라는 인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많은 2세 목회자들이 소규모 이민교회의 영어 목회를 담임목회로 나아가기 위한 경력의 한 단계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1세대 성도들은 다음 세대를 위한 투자라고 생각하며 헌신하지만, 정작 청빙된 2세 목회자는 몇 년 안에 더 나은 조건의 사역지로 떠나버리는 악순환이 반복되기도 한다. 결국 한어 회중(KM)과 영어 회중(EM) 사이의 간극은 좁혀지지 않고, 교회는 구심점을 잃은 채 표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한인 이민교회들은 ‘샌드위치’ 신세에 놓인다. 1세대는 자신들의 신앙 유산을 이어갈 후임자가 없어 애태우고, 2세대는 자신들이 온전히 뿌리내릴 만한 건강한 토양을 찾지 못해 방황한다. 마르 목사가 지적한 ‘작은 교회의 위기’가 한인 이민교회에서는 세대 단절과 정체성 혼란이라는 문제와 얽혀 더욱 고통스럽게 나타나는 것이다.

목회의 본질을 다시 생각할 때

이 거대한 위기 앞에서, 우리는 목회의 본질이 무엇인지 다시 물어야 한다. 라이프웨이 리서치의 연구는 작은 교회 목회자들이 교회의 소멸을 가장 두려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교회의 성공이 건물의 크기나 성도의 숫자로 결정되는가?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주신 사명은 “내 양을 먹이라”는 것이었다. 거대한 조직의 관리자가 아닌, 한 영혼을 천하보다 귀하게 여기는 신실한 목자를 부르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작은 교회는 실패의 상징이 아니라, 오히려 기회의 장이 될 수 있다. 성도 한 사람 한 사람의 이름을 부르며 삶 깊숙이 들어가 함께 울고 웃는 친밀한 교제가 가능한 곳이라는 것. 특히 한인 이민교회의 경우, 작은 공동체는 세대 간의 아픔을 보듬고 신앙의 유산을 진정으로 전수할 수 있는 소중한 공간이 될 수 있다.

결국 지금은 신학교와 교단, 그리고 한인교회를 포함한 모든 개체 교회가 ‘성공’에 대한 세속적 기준을 내려놓아야 할 때다. 마르 목사의 일침처럼, 하나님은 우리를 군중을 끌어모으는 스타로 부르신 것이 아니라, 그의 양들을 성실히 먹이는 목자로 부르셨다. 이 부르심의 본질로 돌아갈 때, 우리는 비로소 세대와 문화를 넘어 교회의 희망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971건 26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새로운개혁교회, 통합 및 창립 감사예배 드려 2025-04-03
뉴욕에서 열린 한미동맹 강화 및 한반도 평화를 위한 기도회 2025-04-02
“자유는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한미동맹 강화를 위한 뉴욕기도회 2025-04-02
한미동맹 강화 및 한반도 평화를 위한 뉴욕기도회, 간절한 기도 이어져 2025-04-02
폴라 화이트 목사가 전하는 신앙과 정치, 그리고 한미 동맹 2025-04-01
폴라 화이트 목사 “4월 4일은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 매우 중요한 날… 2025-04-01
뉴욕 크리스천 코럴 제9회 정기연주회, '십자가상의 칠언' 4월 13일 … 2025-04-01
뉴욕수정교회 3대 남궁태준 담임목사 취임감사예배 4/6 2025-04-01
뉴욕 한인 청소년 ② Z세대 교회생활 들여다보기 2025-04-01
허봉랑 선교사 초청, 소자샬롬성지 3교회 연합 영적대각성 집회 2025-04-01
사막에 핀 부흥의 꽃, 제5회 투산영락교회 목회자 세미나 2025-04-01
사랑, 말씀, 예수, 은혜… '제자의 길' 걷는 갈보리교회 5개월의 여정… 2025-03-31
뉴욕어린양교회, 감격의 새성전 기공 감사예배 화잇스톤에서 2025-03-31
뉴저지 하베스트교회 정선약 4대 담임목사 취임감사예배 2025-03-31
다큐 영화 “하보우만의 약속” 뉴욕개봉 4/15 "하나님이 보우하사 우리… 2025-03-30
이영훈 목사 “남을 비판하지 말고, 일으켜 세우는 인생을 살라” 2025-03-30
떠나야 할까, 남아야 할까: 교회 옮김에 대한 신중한 고민 2025-03-30
뉴욕 한인 청소년 ① Z세대 개인 신앙생활 들여다보기 2025-03-30
이재덕 목사의 부인 고 이덕주 사모 천국환송예배 “두 아들의 특별한 메시… 2025-03-29
구미리암 목사 “누리는 삶, 육신을 넘어 영으로” 2025-03-29
조국과 미국 그리고 뉴욕교계를 위한 통렬한 기도 - 이종명과 박진하 목사 댓글(2) 2025-03-29
손한권 목사의 부인 고 손진상 사모 천국환송예배 2025-03-28
청소년들이 돌아왔다! 뉴욕교협 청소년센터 부흥집회 대성황 2025-03-28
2025년 부활절 새벽연합예배를 위한 제1차 준비 기도회 댓글(1) 2025-03-28
희년 후러싱제일교회, 10만 달러를 지친 교회에 '희망 마중물'로 붓는다 2025-03-28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