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차 논쟁에 발목 잡힌 뉴욕교협 임시총회, 헌법 개정안 모두 보류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절차 논쟁에 발목 잡힌 뉴욕교협 임시총회, 헌법 개정안 모두 보류

페이지 정보

탑2ㆍ2025-10-16 15:41

본문

[기사요약] 뉴욕교협 임시총회가 헌법 개정을 위해 열렸으나, 총무의 법규위원장 겸임, 실행위 미합의 안건(회장 연임 조항 등) 상정 시도 등 절차적 정당성 문제로 격론에 휩싸였다. 회비 인상, 평신도 총대 자격 부여 등 주요 안건마다 이견이 충돌했으며, 결국 모든 개정안을 차기 회의에서 다시 다루기로 하고 성과 없이 마무리되었다.

 

710a8980609519b4f8424133d65edc21_1760643559_55.jpg
▲ 절차 문제로 격론이 오가는 뉴욕교협 임시총회 현장

 

51회기 뉴욕교회협의회(이하 교협)가 야심 차게 추진한 헌법 개정안이 절차적 정당성 문제에 부딪혀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했다. 주요 안건들은 논의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채 다음을 기약하며 총회는 마무리되었다.

 

제51회기 뉴욕교협(회장 허연행 목사)은 10월 16일(목) 오전 교협회관에서 헌법 개정을 위한 임시총회를 개최했다. 그러나 회무가 시작되자마자 총무가 법규위원장을 겸임하는 문제와 임시 실행위원회에서 합의된 안건의 범위를 놓고 회원들 간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며 회의는 공회전을 거듭했다.

 

총회 시작부터 절차 문제로 '삐걱'… 총무의 법규위원장 겸임 논란

 

본격적인 헌법 개정안 심의에 앞서, 절차상의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현영갑 목사는 김명옥 총무가 법규위원장을 겸임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고 문제를 제기하며 “국무총리가 대법원장을 하겠다는 것과 같은 이치”라며 “관행적으로도 맞지 않고, 삼권분립의 원칙에도 어긋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에 대해 허연행 회장은 “교협이 여러 어려움 속에서 비상적인 상황으로 운영되다 보니 생긴 일”이라며 “절차상 미숙함이 있었음을 인정하고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허 회장은 이것이 회의의 정당성을 해칠 만큼의 불법적인 사안은 아니라고 설명하며 회원들의 이해를 구했지만, 회의 내내 고성이 오가는 무거운 분위기가 이어졌다.

 

710a8980609519b4f8424133d65edc21_1760643652_81.jpg
 

회비 인상·평신도 총대 자격… 안건마다 이견 속 공회전

 

어렵게 시작된 안건 심의 역시 순탄치 않았다. 첫 안건인 연회비 120달러에서 150달러로의 인상안을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교협 측은 “지난 회기에서 2만 7천 달러의 부채를 안고 시작했을 만큼 재정이 어렵다”며 인상의 불가피성을 설명했다. 그러나 김요셉 목사는 “실제 회비를 내는 30여 개 교회를 기준으로 하면 1년에 900달러 인상 효과밖에 없는데, 이것이 재정난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투표를 했으나 회비 인상안은 부결됐다.

 

지난 회기에서 폐지되었던 ‘평신도 총대’ 자격을 다시 부여하는 안건도 이견에 부딪혔다. 교협은 “과거 평신도 총대 제도의 부작용이었던 선거 과열 문제가 공천위원회 도입으로 해소되었기에 화합 차원에서 부활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었다. 반면, 정대영 목사는 과거 평신도 총대를 편법 등록했던 사례를 들며, 부정행위에 대한 명확한 징계 조항 등 안전장치 없이 원상 복귀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신중론도 제기되었다.

 

710a8980609519b4f8424133d65edc21_1760643665_24.jpg
 

‘회장 연임’ 조항 등장… 결국 모든 개정안 차기 회의로

 

가장 큰 쟁점은 임실행위원회에서 논의되지 않은 안건이 임시총회 자료에 포함되었다는 지적에서 비롯되었다. 한준희 목사는 “실행위원회에서는 회비 인상과 평신도 총대 자격, 두 가지 안건만 다루기로 결의했다”며 “상정되지 않은 다른 조항들까지 개정하려는 것은 절차를 무시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날 총대들의 강한 반발 배경에는 실행위에서 논의되지 않은 민감한 조항이 포함된 점도 작용했다. 배포된 헌법 개정안 자료에는 ‘공천위원회에 의하여 정부회장의 임기를 1년 연임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조항이 통과될 경우, 현 허연행 회장의 연임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역시 실행위원회에서 다루지 않았다는 절차상의 문제 제기로 인해 총회 현장에서는 공식 안건으로 다뤄지지 못했다.

 

결국 허연행 회장은 “임실행위원회에서 다루지 않은 헌법 규정은 오늘 다룰 수 없을 것 같다”고 인정하며, 모든 안건을 차기 회의에서 절차를 다시 밟아 논의할 것을 제안했다. 이 제안이 동의와 재청으로 받아들여지면서, 헌법 개정을 위해 소집된 임시총회는 어떤 결론도 내리지 못한 채 마무리되었다.

 

710a8980609519b4f8424133d65edc21_1760654317_59.jpg
 

한편 뉴욕교협 임시총회가 헌법 개정안을 둘러싼 논쟁으로 고성이 오가는 험악한 분위기로 흐르자, 증경회장 김용걸 신부는 “이건 싸움판”이라고 개탄하며, “목회자로서 기자들 보기에 부끄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일태 수석협동총무 역시 일부 회원들의 언행이 “회의를 파행시키려는 것으로밖에 들리지 않는다”고 비판하며, 정식으로 발언권을 얻어 회의 절차를 지켜줄 것을 요청했다.

 

----------------------------------------------------------

구글 포토 앨범
아래 구글 앨범 링크를 누르시면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통해서 고화질 사진을 더 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시는 사진을 클릭하면 큰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앨범] 51회기 뉴욕교협 임시총회 생생현장
- [앨범] 51회기 뉴욕교협 임시총회 상정 준비 헌법과 선거세칙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995건 117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건강한 가정을 위한 한인 교회들의 역할” 목회자 컨퍼런스 2021-05-25
김종훈 목사 “개척 30여년이 되어 시작한 3가지 목회방향” 2021-05-24
뉴욕교협 이사회, 한인 2세대와 코로나 극복을 위한 희망 콘서트 2021-05-24
뉴욕 완화후 첫 주일, 마스크 착용 의무화하지 않은 교회도 2021-05-24
뉴욕교협 임원과 특별혁신위 상견례 “공감있는 시대적 역할 고민” 2021-05-22
50주년을 맞은 NCKPC가 희년을 축하하는 방법 2021-05-21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 드디어 “은퇴연금 프로그램” 통과시켜 2021-05-20
미국은 기독교 국가일까? 성경사용자 통계로 미국읽기 2021-05-20
뉴저지교계, 6월 10일 “교회여 일어나라!” 영적대각성 기도회 2021-05-20
KAPC, 영문 사도신경 “예수님이 지옥으로 내려갔다” 연구 발표 2021-05-20
희년 맞은 미국장로교 한인교회 전국총회(NCKPC) 정기총회 2021-05-20
조진모 목사 "한국기독교 100년 선교에서 평신도의 역할" 2021-05-19
뉴욕초대교회 김승희 목사 원로목사 추대 및 선교사 파송식 2021-05-19
UMC 파송문제 확대, 항의 시위 및 긴급 기도와 금식 진행 2021-05-19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 제45회 정기총회 “팬데믹 속에서도 멈추지 않아” 2021-05-18
40주년 뉴욕초대교회, 김승현 2대 담임목사 위임 2021-05-18
왜 한인교계가 UMC 한인목사 파송문제에 항의하고 나섰나? 2021-05-17
남가주 교계 발표, UMC 재파송 문제 성명서 전문 2021-05-17
정재호 감독, 가장 어려운 시기에 부흥을 선언한 이유 2021-05-17
UMC 뉴욕연회 한인코커스 정기총회, 회장 정인구 목사 2021-05-17
뉴욕장로교회, 40일 전교인 릴레이 금식 특별 새벽부흥회 2021-05-17
사랑의 공동체를 세워 나가는 ‘크로스웨이 의료상조회’ 2021-05-17
김정호 목사 “제로섬 게임 그만하고 예수 썸타는 교회” 2021-05-17
아름다운교회 조문길 임시목사 부임 1달반만에 사퇴 댓글(1) 2021-05-16
70년간 목회한 분으로부터 배운 세 가지 2021-05-15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