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김정준 목사 25주기 추모 행사, 5월 15일 뉴저지 예닮원에서 > 톡톡뉴스

본문 바로가기


톡톡뉴스

고 김정준 목사 25주기 추모 행사, 5월 15일 뉴저지 예닮원에서

페이지 정보

기사 작성일2025-05-07

본문

[기사요약] 故 김정준 목사 25주기 추모 행사는 '임마누엘' 신앙으로 평생 고난을 이겨낸 그의 삶과 교훈을 되새기는 자리다. 오는 5월 15일 예닮원에서 열리는 강연회와 예배를 통해 그의 거룩한 발자취를 따르고 귀한 신앙 유산을 계승할 것을 다짐한다.

 

f57c1775748f3274e80f881e91cf2b1d_1746603011_75.jpg
▲2014년 뉴저지에서 열린 김정준 박사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예배와 강연회

 

"임마누엘!" 평생 하나님께서 함께 하심을 고백하며 살았던 故 만수 김정준 목사의 25주기를 맞아 5월 15일(목) 뉴저지 예닮원에서 그의 삶과 신앙을 기리는 기념 강연회 및 예배가 열릴 예정이어서 관심을 모은다. 김 목사는 가난과 질병, 풍랑 등 숱한 역경 속에서도 긍정의 삶을 살았던 한국교회의 큰 스승으로 기억된다. 이번 행사는 그의 신앙과 교훈을 되새기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2014년 11월에는 김정준 박사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예배와 강연회가 같은 장소에서 열린 바 있다. 당시 김남중 목사(클레어몬트신학대학원 교수)는 김정준 박사의 삶을 관통하는 '임마누엘 신앙'이 오늘날 우리에게도 중요한 이정표가 된다고 전했다. 이처럼 세월이 흘러도 그의 신앙적 유산은 많은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고 있다.

 

故 김정준 목사의 삶은 ‘하나님이 함께 하신다’는 임마누엘 신앙의 연속이었다. 폐병 6급이라는 절망적인 상황과 해상에서 만난 큰 폭풍우 속에서도 하나님은 그와 함께 하시며 구원의 손길을 베푸셨다. 이러한 체험은 그가 목회자이자 신학자로서 긍정의 힘을 가지고 수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원동력이 됐다.

 

그는 '하늘에 가득한 영광의 하나님'(새찬송가 9장)의 작사자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연세대학교 교수, 교목실장, 연합신학대학원장, 한신대학교 학장 등을 역임하며 후학 양성과 한국 신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초교파적으로 존경받았던 그의 삶은 학문과 경건의 조화를 이루는 모범을 보였다.

 

오는 5월 15일(목) 오전 11시, 스승의 날에 뉴저지 오클랜드의 예닮원(222 Ramapo Valley Rd. Oakland, NJ 07436)에서 열리는 25주기 기념 강연회 및 예배는 이러한 그의 뜻을 기린다.

 

고 김정준 박사 25주기 기념 강연 및 예배는 장재웅 목사의 사회로 시작되어, 박성원 목사의 기도, 송병기와 임낙길 목사의 특송, 김상모 목사가 설교, 김병서 목사의 축도로 이어지며, 황현조 목사가 강연을 맡고, 노순구 목사가 서평을 전한다. 이어 영상 추모에는 주재용 전 한신대 총장, 김현숙 연세대 신과대학장, 황용대 전 기장 총회장, 김남중 클레어몬트신학대학원 교수가 참여한다. 김영호 목사는 고인의 신앙과 묵상을 담은 저서를 소개한다.

 

이번 기념행사는 한신대학교 동문회,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미동부동문회,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미동부동문회 등이 공동으로 주관한다. 이번 25주기 기념 강연 및 예배에 대한 문의는 송병기 목사(917-559-8877), 조원태 목사(718-309-6980), 박성원 목사(718-683-8884), 최지호 목사(646-824-1857), 김영호 목사(718-213-8645)에게 연락하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톡톡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