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의 원조 중단, 기독교 자선단체 ‘위기’
페이지 정보
기사 작성일2025-02-17관련링크
본문
▲트럼프 행정부의 원조 중단으로 기독교 자선단체들이 위기에 처했다(AI 생성사진)
트럼프 행정부의 외국 원조 중단으로 인해 기독교 자선단체들이 심각한 운영 위기에 처했다고 뉴욕타임즈가 보도했다. 가톨릭 구호 서비스(CRS), 월드비전, 루터교 및 성공회 단체들은 수십 년간 미국 정부와 협력하며 난민과 빈곤층을 지원해 왔지만 최근 정부가 국제개발처(USAID) 예산을 동결하고 대규모 강제 추방 정책을 추진하면서, 이들 단체는 급격한 재정난에 직면했다.
미국가톨릭주교회의(USCCB)는 난민 지원 부서 직원 50명을 해고했고, CRS는 최대 50%의 예산 삭감을 예상하고 있다. 월드비전 역시 정부 지원 감소로 사업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으며, 일부 프로그램은 존폐 기로에 놓였다. 이에 대해 밴스 부통령은 일부 구호 단체들이 “무신론을 전파하고 있다”며 비판했고, 교황 프란치스코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인용하며 기독교적 사랑은 모든 이에게 열려 있어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번 사태로 신앙과 정치의 갈등이 다시금 부각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보수 기독교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낙태 반대 및 전통적 성 가치관을 옹호하는 단체들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국제 구호 활동을 펼쳐 온 기독교 단체들은 정부 지원 축소로 인해 신앙적 사명을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와 가까운 복음주의 단체인 ‘사마리안스 퍼스(Samaritan’s Purse)’는 정부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민간 기부금으로 운영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았다. 대표 프랭클린 그래함 목사는 “기독교 단체들은 정부가 아닌 교회를 바라봐야 한다”며, 정부 지원에 대한 의존이 신앙의 본질을 흐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기독교 자선단체들은 정부 지원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인가? 인도적 지원이 정치적 이슈로 변질되는 가운데, 이들이 신앙적 사명을 어떻게 이어갈 것인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