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 5명 중 1명, 챗GPT로 설교 준비 > 한국 세계 뉴스

본문 바로가기


한국 세계 뉴스

목회자 5명 중 1명, 챗GPT로 설교 준비

페이지 정보

한국ㆍ2023-04-04 17:56

본문

목회데이터연구소, '목회자의 챗GPT에 대한 인식과 사용 실태 조사' 발표 

 

30070f5dc32adebfa4507cf5e12b2129_1680645380.jpg
▲(사진출처=연합뉴스) 

 

최근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가 설교문까지 작성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교계의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목회자 5명 중 1명이 설교 준비에 챗 GPT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4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전국 개신교 담임목사와 부목사 각 32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목회자의 챗GPT에 대한 인식과 사용 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목회자 47%가 챗GPT를 직접 사용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일반 국민(36%)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이다.

 

그 중 목회나 설교를 위한 챗GPT 사용 경험을 물은 결과, 42%가 ‘있다’고 응답했다. 결과적으로 응답자 가운데 약 20%가 설교를 준비하면서 챗GPT를 사용한 것이다. 

 

사용 분야로는 ‘설교 또는 강의 준비를 위한 자료 획득’이 87%, ‘설교문 작성’이 29%로 조사됐다. 주로 설교 준비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목회자들에게 가장 도움이 됐던 점을 물은 결과, ‘설교 주제와 개요를 위한 아이디어 창출’이 60%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챗GPT의 설교문을 실제로 활용했나는 질문에 '거의 전체를 활용했다'고 답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생성된 설교문에 대한 평가도 '평소 내가 준비한 설교문보다 못하다'는 의견이 67%였다.

 

설교 준비에 챗GPT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윤리성에 대해서는 ‘적절하다’ 34%, ‘부적절하다’ 33%, ‘모르겠다’ 33%로 의견이 갈렸다. 목데연은 “현재 목회자들이 어느 한쪽으로 의견이 집중되지 않고 혼란스러운 상태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우리나라 목회자들이 설교를 준비하는 데 챗GPT를 사용할지 물은 결과, 79%가 사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본인의 의향에 대해서도 46%가 사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반면 설교문 작성에 챗GPT를 사용한다면 교인들은 어떻게 반응할지에 대해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답변이 54%로 절반 이상 높게 나타났다.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 기술이 교회에서 활용될 때 발생되는 문제로 목회자의 '개인적인 묵상과 연구가 줄어든다는 점이 가장 높게(51%) 응답됐다.

 

목데연 관계자는 “챗GPT의 설교문을 활용하다보면 목회자 개인의 묵상과 성경 연구를 소홀히 할 가능성이 분명 존재한다”며 “아무리 챗GPT가 발전을 한다 해도, 사람들의 영을 돌보는 목회자들은 자신의 묵상과 연구, 경험에서 우러나온 통찰력을 키우고 그 통찰력을 설교와 목회에 반영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목회자들이 설교 준비에 많은 서적을 참고하듯이 챗GPT도 참고 수준으로만 이용한다면 설교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예은 기자 ⓒ 데일리굿뉴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한국 세계 뉴스 목록

Total 1,677건 4 페이지
한국 세계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美여객기 사고 조종사 아버지 "아들은 예수님께 속한 행… 2025-02-04
[정재영 칼럼] 교회가 민주주의에 기여하려면 2025-02-04
오픈도어즈선교회, 2025년 세계감시목록 발표 2025-02-02
이찬수 목사 "각자의 생각과 정치적·법적 판단을 하지 … 2025-02-02
기윤실, '극한 정치적 갈등 속에 기독교인 행동지침' … 2025-01-31
트럼프 "미성년자 성전환은 파괴적 행위…지원 중단" 2025-01-30
트럼프 행정부, 사회보장카드 성별 변경 웹사이트 삭제 2025-01-30
트럼프, 트랜스젠더 군인 복무 금지…"군인 정신과 충돌… 2025-01-28
'2025년 한국교회 키워드' 1순위는 ‘양극화“ 2025-01-27
은퇴 후의 삶이 위태롭다…목회자 3명 중 2명 "노후 … 2025-01-24
"극우도 극좌도 지지하지 않아…기독교 본질에 충실할 것… 2025-01-23
김진홍 목사, 윤석열 대통령에 성경책 전달 2025-01-22
"한국교회, 교회학교와 30·40세대에 사활 걸어야" 2025-01-22
"올해는 꼭! 말씀과 가깝게"…스마트한 잘파세대의 성경… 2025-01-22
동성애자 사제·목사 괜찮다?…"타협이 몰락 부추겨" 2025-01-21
기독교인에게 가장 위험한 50개 국가, "올해 더 폭력… 2025-01-21
"AI, 인간의 존엄성과 성경적 가치관 훼손하면 안된다… 2025-01-18
교회 분쟁 최고 원인은 '운영 문제' 2025-01-15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함께'…"회복·부흥의… 2025-01-15
美 LA 역대 최악의 산불…기독단체들 구호활동 발벗고 … 2025-01-14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