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세들 마음을 움직인 1세들의 십자가 가득한 손 이야기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2세들 마음을 움직인 1세들의 십자가 가득한 손 이야기

페이지 정보

이민ㆍ2017-08-18 12:49

본문

후러싱제일교회가 지난 사순절 기간 동안 75세 이상 한인 1세들의 위대한 삶의 흔적들이 있는 손의 사진을 삶의 이야기들을 함께 실어서 교회 복도에 전시했다. 그 손 사진들은 교회에 있는 2세들의 마음을 움직였고 2세들이 자원하여 나서 영어로 번역하여 <손에 담긴 삶의 이야기(Story Hand)>라는 이름으로 소책자를 발간했다.

 

2e9ea248deff7784250578d10254e0d6_1503074966_74.jpg
▲<손에 담긴 삶의 이야기(Story Hand)>. 영어 “Story Hand”는 한국말로 “할머니 손은 약손”할 때 약손이라는 뜻이다.
 

김정호 목사는 이민자의 손에는 십자가가 담겨 있다고 말했다. 그 십자가를 매개체로 단절되었던 세대간의 대화가 시작됐다.

 

8월 13일 주일 오후 3시30분 열린 <손에 담긴 삶의 이야기> 발간 기념회에 앞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책에 자신의 손이 담겨있는 이흥용 장로(뉴욕연회 평신도 대표)는 개그콘서트 “대화가 필요해”라는 코너를 언급했다. 부모와 자녀간의 대화라고는 “밥 묵자”라는 말이 다인 대화가 부족한 부모와 자녀들간의 갭을 잘 보여주는 코너이다. 이 장로는 그 모습이 바로 자신들이었다고 언급했다.

 

그냥 1세들의 이야기로 끝났다면 반쪽이었을 텐데 2세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2세들이 관심을 가지고 나선 것이 무엇보다 좋았다. <손에 담긴 삶의 이야기> 발간기념회에서 영어권 청년 스티브 추 형제는 “이 책에서 글 쓴 모든 분들에게 감사 말씀을 드리고 싶다. 여러분은 기도와 사랑과 희생을 따라 가겠다”고 말했다. 

 

2e9ea248deff7784250578d10254e0d6_1503074978_05.jpg
▲복도에 전시된 손사진들
 

책의 편집을 맡았던 이영지 전도사는 “이민한인 1세들에게는 교회는 선택사항이 아니라 필수였지만, 2세들은 조부모들이 그리고 부모들이 다니고 믿었으니 당연히 교회에 나오는 교회에 대한 애절함이 약해지는 세대이다. 1세의 교회에 대한 사랑과 헌신이 2세들에게 전해졌으면 한다. 특히 1세들이 가족과 교회를 위해 손에 십자가가 이렇게 많아졌다면, 2세들의 손은 도움이 필요한 다른 소수민족을 위해서도 손에 십자가를 생기도록 확장되었으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김정호 목사는 “이 책이 2세와 3세 앞으로 많은 우리의 후손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며 이민 1세대들의 수고와 땀을 감사하고 배울 수 있는 위대한 유산으로 남기를 소망한다”고 말했다.

 

또 김정호 목사는 “뉴욕에 한인 2-3세가 많지만 미국교회에 출석하거나 안나가는 경향이 많다. 최근 긍정적인 현상들은 2-3세들이 결혼하면서 자녀들에게 한국어도 가르치고 한국문화도 가르치기 싶어 한인교회로 돌아오는 경향이 있다. 수천 명의 한인 차세대들이 출석하고 있는 팀켈러 목사가 사무하는 맨해튼 리디머교회 앞에 가서 ‘한인 2세들을 우리 집으로 돌려달라’라고 시위를 하려고도 했다. 뉴욕의 한인이민교회들이 잘 준비하면 생각하지 않았던 엄청난 변화가 가능하다. 그들이 돌아오면 한인교회들도 큰 변화가 올 것이다”고 말했다.

 

2e9ea248deff7784250578d10254e0d6_1503074989_49.jpg
▲발간 기념회에서 발표하는 7학년 박갈렙 어린이
 

<손에 담긴 삶의 이야기> 발간 기념회에서 7학년 박갈렙 어린이가 한 언급은 이번 책자의 발행을 통해 얻은 큰 수확이었다.   

 

“책을 읽으면서 많은 생각을 했다. 제가 몰랐던 사실도 많이 배웠다. 얼마 전 풀뿌리재단 프로그램에 참가하여 워싱톤DC를 가서 코리안 어메리칸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들었다. 이 책도 저에게 코리안 어메리칸로 사는 것에 대한 생각과 영감을 주고 현명한 조언으로 가득하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이민 1세로부터 저 같은 아이들에게 조언과 지혜를 주시는 훌륭한 경험이다. 그동안 알지 못했던 교회 어르신들을 책을 통해서 만날 수 있었기에 더 좋았다.”

 

“책에는 제목 그대로 손의 이야기가 있는 것 같다. 저는 믿음과 지혜를 가지신 어르신 분들의 이야기가 하나님과 하나님의 영광을 향해 우리의 삶을 이끌어 주도록 도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분들이 주시는 격려와 사랑과 기도로 우리가 교회 안에서 모두 함께 기쁘게 살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제가 할아버지 손을 닮았다고 한다. 책속에서도 할아버지의 손을 보았다. 저도 나중에 할아버지와 같은 손을 가지게 될 것 같다. 그래서 할아버지와 이 모든 교회에 있는 어르신 같이 제 손에도 기억을 많이 담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더 많은 사진과 동영상 보기

아래 구글 앨범 링크를 누르시면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통해서 다이나믹한 사진/동영상을 더 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시는 사진을 클릭하면 큰 사진을, 동영상을 클릭하면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손에 담긴 삶의 이야기> 발간기념회

https://goo.gl/photos/CaPBS55smtUUcCZy8

<손에 담긴 삶의 이야기> 기자간담회

https://goo.gl/photos/7wMmJ9ZZXFft9vVB8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뉴스 목록

Total 254건 5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제2회 앰배서더 컨퍼런스 “혼란한 이 시대, 한인교회 소망은!” 댓글(1) 2018-04-04
대사회 최고의 히트 아이템, 이민자보호교회 1주년 2018-03-27
이민자보호교회, 다카 드리머에 이어 인종혐오도 다룬다 2018-03-24
세상적 철조망을 넘어 예수 사랑을 전한 제1회 희망콘서트 2018-02-09
어려운 미국 한인이민교회의 외적 환경변화 2018-01-19
이민자보호교회, 워싱턴 DC에서 다카 드리머 위한 믿음의 행진 2018-01-18
220명 30교회가 연합하여 드려진 뉴저지 청소년 연합수련회 2017-12-28
추방위기에 직면한 드리머들을 위한 첫 번째 기도모임 2017-12-08
(2) 도시목회 파트너쉽 모델: 뉴욕 맨하탄 프로젝트 2017-12-05
김진우 목사 “청년들의 이 시대 교회에 대한 고민과 기대” 2017-11-07
박형규 전도사 “왜 교회대신 캠핑장과 커피샵을 찾는가?” 댓글(2) 2017-10-12
톡톡 튀는 2017 청소년 할렐루야대회 개막 2017-10-07
미국 백인 기독교인 비율 절반으로 줄어 2017-10-01
정민철 목사 “1세대와 차세대의 관계, 그리고 한인교회의 부르심” 2017-09-30
2세 목사가 제시한 세대간 갈등회복 방법은 “하나님의 가족” 2017-09-15
한인교회 비상 / 뉴욕·뉴저지 한인인구 크게 줄어 댓글(7) 2017-09-15
2세 목회자들 “믿음의 동반자로서 1세와 함께 손잡고 걸어갔으면” 2017-09-14
“왜 미국에 있는지 사명을 찾지 못하면 한인교회 미래는 없다” 2017-08-22
2세들 마음을 움직인 1세들의 십자가 가득한 손 이야기 2017-08-18
한인교회의 미래가 어둡다고요? 주는교회 여름성경학교 2017-07-03
한인교회의 미래가 어둡다고요? 1천명이 참가한 베장 VBS 2017-07-01
정민용 목사 “문제 많음에도 1세 한인교회가 중요한 이유” 2017-06-23
27년 EM 목회한 정민용 목사 “우리교회는 교회들을 연결시키는 허리” 2017-06-22
다음세대와 이민교회를 고민한 2017 열린문 컨퍼런스 2017-06-07
감동의 순간이 이어진 2017 앰배서더 컨퍼런스 2017-06-02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안내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