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속화 3단계"... 미국은 2단계, 한국은 3단계 진입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페이스 상패 해피바잉 이희상 로제 제이미


뉴스

"세속화 3단계"... 미국은 2단계, 한국은 3단계 진입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9-03 14:45

본문

미국은 2단계, 한국은 3단계... 세대 간 신앙 격차로 본 세속화

다음세대의 신앙, 예배 불참에서 시작해 소속감 상실로 이어져

 

[기사요약] 퓨리서치센터가 전 세계적인 종교 쇠퇴 현상이 3단계의 ‘세속화 전환’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고 발표했다. 세대가 거듭되며 예배 참석 감소, 종교 중요도 하락, 종교 소속감 상실 순으로 이어진다. 미국은 세 지표 모두에서 큰 격차를 보이는 2단계에, 한국은 특히 젊은 층의 종교 소속감 이탈이 심각한 3단계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d147dc48020b38c0f26300e81e953260_1756836143_08.jpg
▲ 세속화, 예배 불참에서 시작해 소속감 상실로 (AI사진)

 

전 세계적으로 종교적 정체성이 옅어지는 현상이 세대를 거치며 일정한 단계를 밟아 진행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저명한 여론조사기관인 퓨리서치센터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많은 국가에서 나타나는 종교 인구 감소가 ‘세속화 전환(secular transition)’이라는 점진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밝혔다. 이는 다음 세대가 이전 세대보다 덜 종교적으로 변모하는 과정이 핵심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전환은 보통 세 가지 뚜렷한 단계를 거친다. 첫 번째 단계는 사람들이 예배나 종교 의식에 참여하는 빈도가 줄어드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종교가 개인의 삶에서 차지하는 중요도가 낮아진다. 마지막 세 번째 단계에 이르면, 특정 종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더 이상 유지하지 않고 소속감 자체가 옅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미국은 2단계, 한국은 3단계 진입

 

퓨리서치센터가 공개한 데이터는 이러한 단계별 변화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미국의 경우, 세속화 전환 2단계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혔다. 40세 미만 미국 젊은 층은 40세 이상 기성세대에 비해 예배 참석률(Participation)이 약 25%, 종교의 중요도(Importance)는 약 23%, 종교 소속감(Belonging)은 약 2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지표 모두에서 세대 간의 깊고 넓은 격차가 확인된 것이다.

 

특히 한국은 세속화 전환의 마지막 단계인 3단계에 속한 국가로 분류되어 주목을 끌었다. 한국의 젊은 층은 기성세대에 비해 예배 참석률은 약 23%, 종교의 중요도는 약 38% 낮았다. 가장 큰 격차를 보인 것은 종교적 소속감으로, 무려 40%에 달하는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한국의 젊은 세대 사이에서 특정 종교에 소속되려는 의지가 급격히 약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러한 현상은 기독교가 주류였던 국가들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종교를 떠나는 이들의 대다수는 기독교 배경을 가진 이들이었으며, 이들은 무신론자, 불가지론자 또는 ‘특별히 믿는 종교는 없는(nothing in particular)’ 그룹으로 흡수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과 미국 교회가 다음 세대의 신앙 전수를 위해 더욱 실제적이고 깊이 있는 고민을 해야 할 시점임을 명확히 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807건 1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주는 교회가 되자" 퀸즈한인교회, 온가족 페스티벌 개최 (9/13) 새글 2025-09-03
찬양으로 로마에 복음을! 뉴욕장로성가단, 출정 감사예배 드려 새글 2025-09-03
"세속화 3단계"... 미국은 2단계, 한국은 3단계 진입 새글 2025-09-03
미국 교회 지각변동: Z세대, 가장 충성스러운 출석자로 부상 새글 2025-09-03
동부개혁장로회신학교 개강부흥회, 박용규 목사 "기도 외에는 다른 길이 없… 새글 2025-09-03
김양재 목사의 ‘THINK 세미나’ 뉴저지 상륙(9/16), 가정과 교회… 새글 2025-09-03
뉴욕조이풀콰이어, 제11회 정기연주회…싱글맘 위한 희망의 노래 새글 2025-09-03
"나를 알아야 사역이 성장한다" 목돌선, 자기인식 프로그램 개설 새글 2025-09-02
"솔직히 부끄럽습니다"… 한준희 뉴욕목사회장, 뼈아픈 회개의 기도 새글 2025-09-02
"잠든 교회를 깨우소서"… 전희수 목사, 뉴욕 교계의 영적 각성 위해 부… 새글 2025-09-02
"사라지는 다음세대"… 임영건 목사, 눈물의 회개로 부르짖다 새글 2025-09-02
뉴욕 할렐루야대회의 두 과제, ‘담임목사의 문’과 ‘재정의 후원’ 새글 2025-09-02
정체된 교회 vs 성장하는 교회, ‘미래’를 대하는 태도가 달랐다 새글 2025-09-02
데이터가 밝힌 교회 성장의 비밀, 해답은 ‘내부 동력’에 있었다 새글 2025-09-02
박춘수 목사, “갈등, 성경적 리더십으로 돌파해야” 새글 2025-09-02
한필상 목사, 흔들리는 세상 속에서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설교전략 새글 2025-09-02
교회 붕괴의 시대, 이영문 목사가 제시한 해법 ‘원형 복음’ 새글 2025-09-02
쇠락한 탄광 도시 스크랜턴의 경고 “한인교회는 박물관이 될 수 없다” 댓글(1) 새글 2025-09-02
이찬수 2025 뉴욕 (8) 사역의 본질 “기능이 아닌 관계로” 새글 2025-09-01
이승희 목사, 뉴욕에 던진 ‘회복과 기적’의 메시지 새글 2025-09-01
용서의 기도에서 부흥의 기도로, 허윤준 목사의 21일 여정 댓글(1) 새글 2025-09-01
이찬수 2025 뉴욕 (7) ‘행복과 노욕 사이’ 뉴욕 목회자들과 나눈 … 2025-08-31
‘살아 움직이는 교회’ 세미나, 교회의 본질을 향한 몸부림 2025-08-31
할렐루야대회 앞두고 거리에서 땀 흘린 뉴욕교협 임원들 2025-08-30
뉴욕교계 ‘엘리에셀 프로젝트’, 첫 만남에서 5쌍 연결…가을엔 더 큰 만… 2025-08-30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