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교회 신뢰도 36%, 공화-민주 양당 간극은 43%로 벌어져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미국교회 신뢰도 36%, 공화-민주 양당 간극은 43%로 벌어져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7-17 06:43

본문

[기사요약] 2025년 최신 조사에서 미국 교회를 향한 신뢰가 정당에 따라 극심한 양극화를 보였다. 공화당 지지층의 신뢰도는 64%로 급등한 반면, 민주당은 21%로 소폭 하락하며 양측의 신뢰도 격차가 43%포인트에 달해, 전례 없는 수준의 인식차를 드러냈다.

 

977d1d3e8e60cf49eb4e295b2e31bc0f_1752749015_53.jpg
▲극명한 인식차 속에 있는 미국 교회 (AI 생성사진)

 

2025년 미국인의 사회 기관 신뢰도 조사에서 ‘교회 및 조직화된 종교’를 향한 시선이 정치적 성향에 따라 전례 없이 크게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화당과 민주당 지지층 사이의 신뢰도 격차가 극심하게 벌어져, 미국 사회의 양극화가 신앙의 영역에까지 깊게 투영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교회에 대한 신뢰 36%, 양당 차이는 43%나 달해

 

최근 갤럽이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 교회에 대해 ‘상당히’ 또는 ‘꽤 많이’ 신뢰한다고 답한 미국인은 전체의 36%였다. 하지만 이 수치는 지지 정당별로 나눠보면 전혀 다른 양상을 띤다. 공화당 지지층의 교회 신뢰도는 64%에 달하며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2024년에 비해 무려 15%포인트나 급등한 결과로, 주목할 만한 변화다.

 

반면, 민주당 지지층의 신뢰도는 21%에 그쳤다. 이는 작년보다 1%포인트 소폭 하락한 수치로, 공화당 지지층과의 격차는 무려 43%포인트에 달한다. 정치적 신념이 교회를 바라보는 시각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무당층의 신뢰도는 30%로, 작년 대비 소폭 상승했다.

 

미국인들은 소상공인과 군에 가장 높은 믿음

 

미국인들은 소상공인과 군에 가장 높은 믿음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0%가 소상공인을, 62%가 군을 신뢰한다고 답했으며, 과학 분야 역시 61%의 높은 신뢰를 받으며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는 미국인들이 일상과 가깝고 국가 안보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에 대해 강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교회에 대한 전체 신뢰도 36%는 다른 사회 기관들과 비교했을 때 중간 정도에 위치한다. 정치와 미디어 관련 기관들은 신뢰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의회와 텔레비전 뉴스는 각각 11%의 신뢰를 얻는 데 그쳤으며, 대기업(15%)과 신문(17%) 역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전례 없는 신뢰도의 양극화 현상

 

이러한 전례 없는 신뢰도의 양극화 현상은 미국 교회에 많은 질문을 던진다. 한쪽에서는 신뢰가 급상승하는 동안 다른 한쪽에서는 불신이 유지되거나 소폭 깊어지는 현실은, 교회가 사회 통합의 역할을 감당하기보다 정치적 대립의 또 다른 현장이 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한다. 이처럼 커진 인식의 간극을 어떻게 메워나갈 것인지가 미국 교회가 마주한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669건 1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주효식 교협 부회장 “정직 없는 최선은 최악” 정직한 회개로 회복을 꿈꾸… 새글 2025-07-17
미국교회 신뢰도 36%, 공화-민주 양당 간극은 43%로 벌어져 새글 2025-07-17
'별처럼 빛나라' 2025 청소년 할렐루야 가을 집회 개최 새글 2025-07-16
리폼드 신학교, 예시바대와 협력해 목회학 박사 과정 개설 새글 2025-07-16
사우스다코타에서 울려 퍼진 ‘C&MA 연합’의 아름다운 메아리 새글 2025-07-16
송인규 목사, 기감 미주연회 미동북부지방회 새 감리사 취임 새글 2025-07-16
2025 할렐루야대회, 온 가족이 함께 은혜받는 축제로 기획 새글 2025-07-15
뉴욕교협, 은행 신뢰 잃어 건물 융자 상환 위기 봉착 새글 2025-07-15
뉴욕교협, 목사회와 첫 연합 야유회… 소통 강화 행보 새글 2025-07-15
“주 안에서 헛되지 않은 인생”… 조정칠 목사 장례예배 새글 2025-07-14
AG 패널들, 사역의 부르심과 능력 그리고 성령의 역할에 대한 통찰 새글 2025-07-14
소형교회의 든든한 동역자, 에제르 미니스트리 3주년 예배 2025-07-14
김종훈 목사 "한인교회, 미국 주류 교단의 전철 밟을 것인가?" 댓글(1) 2025-07-13
미 성서공회 “말씀 묵상이 운동이나 만남보다 나은 최고의 자기 관리법” 2025-07-12
겸손과 섬김의 목회자, 조정칠 목사 하나님의 부르심 받아 댓글(1) 2025-07-12
뉴욕교협 공천위원장 김명옥 목사 연임, 배경과 과제는? 댓글(1) 2025-07-10
김한요·마크 최·이혜진 목사, 2025 할렐루야대회 강사 확정 2025-07-10
배움의 선순환, 산돌교회 섬머캠프가 만들어가는 아름다운 기적 2025-07-09
1년 7개월의 대장정, 65개 교회와 함께 한 블레싱 USA 캠페인 2025-07-09
골프 챔피언의 그립과 사역의 기초, TEE 지도자 과정 개강 2025-07-09
"과거의 지도는 버려라" 2025 할렐루야대회, 새 길을 열다 댓글(1) 2025-07-09
미국과 한국 교회 헌금 문화, 그리고 한인교회는 2025-07-08
사회보다 빠르게 늙어가는 교회, ‘노인 돌봄’이 최우선 과제 2025-07-08
뉴저지 동산교회, 창립 40주년 음악회로 감사 및 미래 선교 비전 선포 2025-07-08
미 IRS, "교회 강단서 정치 후보 지지 가능" 입장 밝혀 2025-07-07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