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한인 청소년 ⑥ '정신건강, ‘듣는 귀’를 먼저 갈망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4-18 11:51관련링크
본문
청소년기의 가장 절실한 질문은 ‘나는 누구인가’다. 목회데이터연구소와 뉴욕교협 청소년센터가 뉴욕·뉴저지 한인 Z세대 165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부터 넉 달간 시행한 설문은 그 물음 뒤의 마음을 비춰 주었다. 통계가 담아낸 외로운 속소리와 신앙 공동체의 과제가 드러났고, 하나님의 시선으로 바라본 Z세대의 마음 풍경이 펼쳐졌다. 마지막으로 이제 우리는 그 속소리를 어떻게 들어 줄지 더 깊이 고민해야 한다.
[관련 기사]
- 뉴욕 한인 청소년 ② 교회생활 들여다보기
- 뉴욕 한인 청소년 ③ 가정 신앙생활 들여다보기
- 뉴욕 한인 청소년 ④ 일상생활 들여다보기
- 뉴욕 한인 청소년 ⑤ 정체성, 한국인 혹은 미국인?
▲뉴욕의 청소년들 중에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다’고 답한 비율은 17%였다.(AI 생성사진)
우선,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다’고 답한 비율은 17%였다. 숫자로만 보면 대다수(83%)가 안정된 듯 보이나, 고등학생이거나 뉴저지에 사는 청소년, 부모 중 한 분만 신앙을 가진 가정, 구원 확신이 희미한 경우에서는 어려움을 겪는 비율이 뚜렷하게 높았다. 연령·환경·신앙의 결이 복합적으로 마음의 날씨를 바꾸고 있었다.
문제가 생겼을 때 대응 방식은 성향을 더 선명히 보여준다. ‘아무런 대처를 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32.1%에 달해, 셋 중 한 명이 스스로를 방치하고 있었다. 반면 ‘친구에게 고민을 말한다’는 답은 46.4%로 가장 높았다. 전문 상담가, 교회 목사·교사를 찾는 비율은 각각 14.3%에 머물렀고, 병원 진료는 7.1%에 그쳤다.
이 숫자는 청소년들이 치료보다 ‘듣는 귀’를 먼저 갈망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러나 친구에게만 의존한 해결책은 위험하다. 함께 방에 앉아 울어 주는 공감은 귀하지만, 전문적 개입이 늦어지면 불안과 우울은 더 깊어질 수 있다. 표본이 30명 미만이라 통계적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나, ‘혼자 끙끙’ 경향은 분명했다.
도움받고 싶은 사람을 묻자 ‘친구’(55.8%)와 ‘부모·가족’(53.9%)이 나란히 1·2위를 차지했다. 뒤이어 ‘교회 지도자’가 27.9%로 이름을 올렸고, ‘믿을 만한 어른’이 20.6%로 뒤를 이었다. 교회가 세 번째 손을 내밀어 줄 곳으로 기대된다는 점은 의미가 크다. 청소년부 목회·상담 프로그램이 구조화될수록 마음의 문도 더 쉽게 열릴 전망이다.
또한 24.8%는 주변에서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친구를 목격했다고 답했다. 이때 ‘직접 대화로 위로했다’는 응답이 58.5%, ‘함께 기도했다’ 36.6%, ‘어른에게 연결했다’ 19.5% 순이었다. 그러나 아무 조치도 하지 않은 비율이 24.4%에 달했다. 위기의 신호를 알고도 선뜻 손을 내밀지 못하는 현실이 여전히 존재했다.
설문은 숫자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뉴욕 한인 교회와 가정은 이미 Z세대의 마음에 다가갈 통로를 갖고 있으나, 그 통로를 확장·정비해야 한다. 교회가 전문 상담사와 연계하고, 부모 교육을 강화하며, 또래 멘토링을 체계화할 때 ‘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던’ 속소리가 비로소 빛 속으로 걸어 나올 것이다. 다음 세대를 위한 동역은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