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철 목사,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의 시간』 번역서 출간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이민철 목사,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의 시간』 번역서 출간

페이지 정보

교계ㆍ2021-10-08 07:48

본문

세계 독일철학 3대 난서(亂書)에는 칸트의 『순수이성비판』(1781), 헤겔의 『정신현상학』(1807),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1927)이다. 그 중 하나로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1976)의 『존재와 시간(Sein und Zeit)』(1927)은 칸트와 더불어 한국 철학계에 많은 연구가 되어 왔다. 그러나 60년대 번역 이후 정명오, 이규호, 전양범, 소광희, 이기상 등은 철학과 교수, 가톨릭대 교수의 번역본들이었다. 

 

3fd1578b6217fcf50412cb45752b2801_1633693714_01.jpg
 

이번에『존재와 시간(Sein und Zeit)』 976페이지 번역서를 낸 이민철 교수(글로벌 총신대학신학대학원, 역사신학)는 기독교 신학자로서의 첫 번역본이며, 최연소라고 소개했다. 이번 번역서는 이 교수의 네 번째 학술총서이다.

 

이민철 교수는 번역본의 특징을 소개하며 “하이데거의 언어적 특징 용어의 생소함과 텍스트의 난이도 때문에 한국어와 독일어를 함께 나열을 해서 읽는 독자로 하여금 그 의미를 스스로 생각하게끔 기록하였다. 특히 외국어 책은 역자의 도움 없이 번역본을 읽게 되면, 그 본래 의미를 상실한 채 독자자신의 생각 이상의 범위를 넘어서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므로, 역자의 사상과 철학적 배경을 잘 이해된 책을 독자는 읽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1976년 5월 26일 하이데거가 별세하자 독일 중부지방의 유력 일간지인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 차이퉁>은 이런 기사를 냈다. “이 사람 마르틴 하이데거 안에 세계 철학사의 모든 지혜가 집결되어 있다. 그가 남겨놓고 간 어마 어마한 작품은 그의 독자들을 지금까지 어느 다른 철학 문헌이 할 수 있었던 것보다 더 깊이 존재물음의 심연에로 휘몰아 넣을 것이다.” 파리의 세계적 일간지인 <르몽드>는 이미 하이데거의 생기에 더 높은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그 신문은 하이데거를 한 마디로 “우리 시대의 가장 위대한 사상가”라고 천명했으며, 이로써 그를 사르트르, 야스퍼스, 비트겐슈타인, 마르쿠제 등등의 유명한 철학자들 위에 군림시켰다.

 

이민철 교수의 번역본서는 『존재와 시간』번역 뿐 만 아니라, 철학의 존재와 근본 질문의 종말 선언과 <부록>으로 하이데거 생전의 강의 된 <현상학과 신학>, <니체의 말 “신은 죽었다”>, <진리의 본질에 관하여>, 마르틴 하이데거 전집 제1권부터 제102권 전권 완결 목록, 『존재와 시간』 독문 없이 간편한 목차(제1~83절)를 추가로 이 한 권의 책에 다 넣었다. 

 

이민철 목사는 “현대의 어느 사상가도 하이데거만큼 현대의 정신적인 삶을 지속적으로 규정하지 못했다. 그의 사상을 논한다면, 그의 전집 102권을 읽고 그를 말해야 될지도 모른다. 신학자로서 철학서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철학을 넘어, 세상의 모든 학문을 여호와 하나님, 삼위일체 하나님께 그 길을 인도하고자 도전을 주는 과제이기도 하다”고 전했다.

 

또 “21세기의 시대, 현 코로나 19를 맞이하며 마치 누군가는 지구의 종말이 다가오며 예견하듯이 그러나 한편으로는 첨단 과학기술 문명으로 지구 밖 시선으로 민간인으로 지구여행에 시도를 한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어느 부분에서나 미치광이, 미치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이다. 과학적 신앙을 맹신하며, 물질과 자본이 더욱 더 빈부의 격차가 심화되며 과연 보이지 않는 그 신앙(믿음)을 더욱 성경을 통한 참된 진리, 참된 복음으로 그 믿음의 자리로 누가 옮겨 줄 것인가 라는 물음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이민철 교수는 뉴욕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기독교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NYTS에서 목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맨해튼성도교회를 담임하면서, 뉴욕총신대학 신학대학원에 이어 글로벌 총신대학 선교대학원에서 교수로 강의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는 뉴욕 크로스 프레스 출판사에서 John G. 메이첸의 『기독교와 자유주의』(2018), 『기독교의 기원』(2018), 『기독교란 무엇인가?』(2019) 등이 있다.

 

이 교수의 『존재와 시간』 번역서 구입문의는 이민철 교수(kbarthlee@gmail.com)에게 하면 되며, 뉴욕일원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뉴스 목록

Total 10,763건 95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연방법원 “뉴욕주의 차별적 예배 인원제한 안된다” 판결 2020-06-26
한소망교회, 코로나19 팬데믹을 어떻게 극복했나? 2020-06-26
미동부국제기아대책, 팬데믹속에서도 해외아동지원 멈추지 않아 2020-06-26
황영송 목사와 A.R. 버나드 목사 대화 동영상 "인종차별과 정의" 2020-06-26
미래의 교회는 건물을 가진 디지털 교회가 될 것 2020-06-26
"기억하라!" 6.25 전쟁 70주년 맞아 특별기도회 열려 2020-06-25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 코로나19로 어려운 46개 교회 지원 2020-06-25
미남침례회 뉴욕한인지방회 3개월 만에 정기모임 가져 2020-06-25
교회 재개방후 예전과 같은 수의 교인 참석을 기대 할 수 없다 2020-06-25
김창길 목사 “6.25 동란과 94일 - 순교자 아버지를 기억하며” 2020-06-25
허연행 목사 “코로나19 시대, 차세대교육 변화의 방향” 2020-06-24
팀 켈러가 말하는 ‘마음을 움직이는 설교’ 2020-06-24
동부개혁장로회신학교 제31회 졸업예배 및 학위 수여식 2020-06-23
[2일] 포스트 팬데믹, 차세대 교육은 어떻게 가야 하나? 2020-06-23
“빨리 가려면 혼자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2020-06-23
김정호 목사 “코로나 팬데믹이후 목회변화-본질회복과 상생협력” 2020-06-23
웨체스터한인교협, 투병 안성국 목사에게 1만불 전달 2020-06-23
[1일] 뉴욕! 포스트 팬데믹, 교회는 어떻게 가야 하나? 2020-06-22
퀸즈장로교회, 안전한 현장예배 참석 가이드 2020-06-21
코로나에 대처하는 슬기로운 신광생활 2020-06-21
김정호 목사 "인생의 위기를 하나님의 기회로" 2020-06-21
미국장로교, 원주민과 흑인 총회장 선출 / 이문희 장로는? 2020-06-20
이민자보호교회 “연방대법원의 DACA 폐지 위헌결정 환영” 2020-06-20
뉴욕영락교회 교회이전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세심하심” 댓글(1) 2020-06-20
22일에 뉴욕시 재개방 2단계 - 주지사와 시장 의견 갈려 2020-06-17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안내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