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하향 평준화의 시대에 필요한 것은 선택과 집중 - 한국교회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교회 하향 평준화의 시대에 필요한 것은 선택과 집중 - 한국교회

페이지 정보

탑3ㆍ2024-04-04 07:48

본문

이민자보호교회 네트워크가 지용근 대표(목회데이터연구소)를 초청하여 “흐름을 읽는 교회가 살아남는다”라는 주제로 목회 컨퍼런스를 지난해 말에 개최했는데, 한국교회의 현황과 대처에 대한 발표된 자료들을 소개한다.d8a28c08b3e5540a92046770cefd7823_1712320373_62.jpg 


d8a28c08b3e5540a92046770cefd7823_1712231107_91.jpg
▲뉴욕교협은 시티필드에서 세계할렐루야대회를 꿈꾼다(사진은 코파일럿 AI를 사용하여 생성)
 

이어 갤럽조사에 의한 미국의 종교와 기독교 상황에 대한 기사가 이어져, 미국과 한국교회의 현황에 대한 자료를 동시에 살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1.

 

한국교회나 미국교회의 적은 이슬람이 아니다. 미국과 함께 한국교회는 탈종교화가 가파른 속도를 내고 있다.

 

d8a28c08b3e5540a92046770cefd7823_1712231135_15.jpg
 

한국갤럽 한국인들의 종교인 분포 2014년 데이터를 보면 종교인이 50%이고 무종교인이 50%으로 반반이다. 하지만 2022년 자료를 보면 무종교인이 63%이고 종교인이 37%로 무종교인들이 많이 늘었다. 한국사회의 탈종교 속도가 가파르다. 미국도 비슷하다. 한국은 지금 종교인 자체가 많이 줄고 있으며, 탈종교 속도가 빠르다고 볼 수 있다.

 

2.

 

특히 젊은 층은 노년에 비해 무종교 비율이 높다. 2022년 연령별 종교인 비율 변화를 보면 20-30대 청년들 중에 종교인은 19-24%이니, 소위 MZ세대 같은 경우는 한 20%정도 남짓 종교인이라고 할 수 있다. 60대 이상은 50%이다. 이러한 추세가 얼마나 지속될지 모르지만, 계속해서 지금 종교인 비율이 빠지고 있어서 문제이다.

 

3.

 

이제 개신교인들만 범위를 줄여 보자. 지난 20년 사이에 개신교인 비율 22%에서 15%로 하락했다.

 

d8a28c08b3e5540a92046770cefd7823_1712231159_56.jpg
 

한목협 데이터를 보면 2012년도에 총인구 기준으로 개신교인들이 22%를 차지하고 있지만 2022년에는 15%이다. 많이 줄었다. 10년 사이에 7%가 줄었는데, 같은 기울기로 간다고 보면 앞으로 10년 뒤인 2030년대에는 10%까지 된다.

 

4.

 

그리고 가나안 성도 문제도 있다. 가나안 성도는 소위 교회를 안 나가는 크리스찬들이다. 교회를 안 나는 크리스찬들은 2012년 10.5%에서 2022년도에는 29.3%으로 늘어났다. 위험한 숫자이다. 같은 기울기로 계속 간다면 앞으로 10년 뒤인 2030년대에는 50%가 된다. 그렇게까지 빠지진 않을 거 같지만 지금 속도로 가면 그렇게 나온다.

 

d8a28c08b3e5540a92046770cefd7823_1712231182_39.jpg
▲스스로 크리스찬이라고는 생각하지만 교회에 출석하지 않는 가나안 성도들이 많아지고 있다(사진은 코파일럿 AI를 사용하여 생성)
 

가나안 성도들 문제를 보면, 한국이 미국보단 유럽을 쫓아간다는 느낌이 든다. 퓨리서치의 몇 년 전의 조사에 의하면, 유럽의 개신교 인구 중에서 지금 69%가 가나안 성도들이다. 그런 걸 보면 지금 한국이 유럽을 쫓아가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한국교회는 지금 이 정도로 가파르게 하락하고 있다.

 

5.

 

예장통합교단의 데이터를 통해 한국교회 현황을 살펴보자. 2010년에 총 교회 수가 8,165개였으며, 2022년에는 교회가 개척을 하니 9,476개로 16%가 증가했다. 중요한 것은 증가의 내용이다.

 

d8a28c08b3e5540a92046770cefd7823_1712231268_06.jpg
 

교인 30명 이하 교회수는 86% 증가했으며, 31~50명은 21% 증가됐다. 그런데 교인수 51명부터 보면 모두 마이너스이다. 지난 10여년을 살펴보니, 50명 이하의 작은 교회는 크게 늘었지만, 3000명 이상 되는 대형교회들 34%가 줄어들었다.

 

이것은 뭘 의미하는가? 이것은 양극화가 아니다. 양극화는 잘되는 교회는 잘되고 못되는 교회는 못되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은 하향 평준화이다. 위에서 다 밑으로만 떨어져 쌓이는 것이다.

 

지금 상황을 보면 전체 교회 중에 50명 이하 교회들이 더 많아졌다. 2010년에는 50명 이하 교회가 지금 38%인데, 2022년에는 지금 55%까지 올라와 있다. 절반 이상이 50명 이하 교회다. 목회자들 중에서 5년 이내의 교회가 문을 닫을 위기가 올 것이라고 생각하는 교회가 한 13%나 된다. 서류상으로만 정리만 안 되어 있지, 비활동교회가 많은 것으로 해석된다.

 

6.

 

지용근 대표는 “이제 교회는 팽창시대가 아니라 수축시대다. 판이 바뀌었다. 지금까지는 일찍 일어난 새가 먹이를 많이 먹이는 시대, 그러니 소수의 부교역자들하고 목사님 등 정말 소수의 헌신적인 리더들하고 열심히 했으면 됐지만 지금은 그렇게 해도 안 되는 시대가 됐다. 이제는 멀리 보는 새가 독식한다. 그래서 이제는 선택과 집중”이라고 했다. 

 

지용근 대표는 “다음세대, 소그룹 등 무엇이 됐든지 가슴에 새기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사막여행자들이 예전에 나침반이 없을 때는 북극성을 보면서 길을 갔다. 이제는 교회 본당 뒤에 걸려있는 올해 목표나 표어 현수막 말고, 전교인들의 가슴에 새길 수 있는 무엇인가 필요하다. 그것이 이 시대에 한국교회에선 굉장히 좀 유효한 전략이 아니겠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갤럽조사에 의한 미국의 종교와 기독교 상황에 대한 기사가 이어집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뉴스 목록

Total 11,390건 31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이종식 목사, 제2회 뉴욕 라이트 목회자 멘토링 세미나 등록받아 2024-04-20
영생장로교회 특별집회, 마크 존스 목사 “낮아지심과 높아지심” 2024-04-20
동부개혁 총동문회 세미나, 이용걸 목사 “목회자 건강의 비결” 2024-04-19
조낙현 목사 성경세미나 “말씀으로 돌아가는 운동이 지역마다 일어나야” 2024-04-19
달라진 뉴욕한인교역자연합회 구체적인 3회기 사업내용 발표 댓글(1) 2024-04-19
윤숙현 목사,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환송예배 2024-04-19
예장 백석 미주동부노회 제66차 정기노회, 노회장 이인철 목사 2024-04-19
황하균 목사 “10년 후의 미주성결교회는 어떻게 될까?” 2024-04-18
글로벌뉴욕여성목, 나라와 민족을 위한 기도회 - 강사 노기송 목사 2024-04-17
플루티스트 제시유 교수의 봄밤 힐링 콘서트 2024-04-17
미남침례회 뉴욕지방회 40주년 감사예배 “믿음으로 변화와 도약 선언” 2024-04-17
시나브로교회, 박근재 목사 은퇴와 윤양필 담임목사 취임예식 2024-04-17
쉐퍼드콰이어 '십자가상의 칠언' 2024 공연, 박요셉 단장 목사안수 받… 2024-04-16
완전히 달라진 교역자연합회 제3회기 시무예배 및 이취임식 댓글(1) 2024-04-15
허장길 목사 담대한교회 개척 “맨하탄에서 사도행전 29장 쓴다” 2024-04-14
뉴욕목사회 은퇴목회자 위로모임 “영화의 면류관을 기대하라” 2024-04-10
더라이프장로교회 유태웅 목사 홈 카페 오픈 감사예배 2024-04-09
[한준희 목사] 목회자 위상 회복을 위한 칼럼 (5) 은혜를 아는 자의 … 2024-04-09
퀸즈장로교회 50주년 임직예배, 50명의 임직자 세우고 100주년 향해 … 2024-04-09
나무교회 교회설립 10주년 임직식, 16명 일꾼들과 다시 10년을 향해 … 2024-04-08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 신임 부학장으로 김남중 교수 임명 2024-04-06
“더 많이, 더 뜨겁게” 뉴욕한인청소년센터 제8회 청소년 찬양의 밤 2024-04-06
뉴욕교협, 사임 유경희 간사에게 감사패 / 유승례 총무 임명장 2024-04-05
미국은 얼마나 종교적인가? 가장 큰 영적문제는 무엇인가? 2024-04-05
박태규 뉴욕교협 회장 “세계할렐루야대회와 뉴욕할렐루야대회 따로 개최” 댓글(2) 2024-04-04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