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수 2025 뉴욕 (4) 일만 성도 파송 운동, 그 시작과 꿈 너머의 이야기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페이스 상패 해피바잉 이희상 로제 제이미


뉴스

이찬수 2025 뉴욕 (4) 일만 성도 파송 운동, 그 시작과 꿈 너머의 이야기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8-22 05:12

본문

[기사요약] 분당우리교회 이찬수 목사가 퀸즈한인교회에서 열린 목회자 간담회에 참석해 ‘일만 성도 파송 운동’의 경험을 나누었다. 이 목사는 이 운동이 새벽 기도 중 받은 하나님의 질문에서 시작된 단순한 순종이었다고 밝혔다. 또한 29개 분립개척교회가 다시 한국교회를 섬기는 ‘꿈 넘어 꿈 프로젝트’를 통해 건강한 교회의 본질을 제시하며 참석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9213a1cc496057cf2f6a46b5db854783_1755853931_1.jpg
▲ 이찬수 목사가 목회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퀸즈한인교회(담임 김바나바 목사)가 주최한 여름 부흥회에 앞서, 뉴욕 일원 목회자들을 위한 특별한 나눔의 시간이 마련됐다. 8월 14일 오전, 퀸즈한인교회는 한국교회의 큰 획을 긋고 있는 목회자의 생생한 경험을 듣기 위해 모인 목회자들의 기대로 가득 찼다.

 

강사로 나선 분당우리교회 이찬수 목사는 신학교에서는 배울 수 없는 목회 현장의 지혜를 아낌없이 나누었다. 특히 담임목사로 새롭게 사역을 시작하는 후배들을 향한 진심 어린 조언은 참석자들의 깊은 공감을 자아냈다.

 

이날 간담회는 김바나바 목사가 참석자들을 대신해 질문하고 이찬수 목사가 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여러 질문 중에서도 많은 이들이 궁금해했던 ‘일만 성도 파송 운동’에 대한 이야기가 비중 있게 다뤄졌다. 김 목사는 “왜 스스로를 괴롭히는 길을 가시냐”는 한 참석자의 질문을 던지며 대화의 문을 열었다. 교회를 건축하지 않고, 수많은 제안을 거절하며, 모두가 의심했던 성도 파송을 실제로 감행한 이유에 대한 핵심적인 질문이었다.

 

새벽 3시에 시작된 하나님의 질문

 

이찬수 목사는 “스스로를 괴롭힌 것이 아니라, 그저 단순하게 살려고 했을 뿐”이라고 답했다. 목회의 본질은 하나님과의 관계, 그리고 성도들과의 관계에 있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일만 성도 파송 운동’ 역시 어떤 치밀한 목회 철학의 결과가 아니었다. 이 목사는 “총신 출신이고 고신 교단에서 자라 소위 ‘음성을 듣는다’는 것에 거부감이 많은 사람이지만, 그날의 경험은 부인할 수 없었다”며 “새벽 3시, 잠에서 막 깨어났을 때 하나님께서 질문을 던지셨다”고 고백했다.

 

“한국 교회가 이렇게 어려운데, 분당우리교회 한 교회만 이렇게 비대해지는 것이 옳으냐?” 이 질문 앞에서 그는 ‘1만 명에서 1만 5천 명의 성도를 잘 훈련시켜 작은 교회들로 파송하겠다’고 약속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이 목사는 “하나님의 페이스에 완전히 휘말린 것”이라며 “얼떨결에 드린 약속이었지만, 주일에 한 약속이기에 반드시 지켜야 했다”고 말했다. 거대한 운동의 시작이 실은 하나님과의 약속을 지키려는 한 목회자의 단순한 순종이었음을 강조했다.

 

이 결정으로 순장들의 70~80%가 교회를 떠나 분당우리교회는 한때 거의 혼수 상태에 빠질 정도의 어려움을 겪었지만,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길이었기에 흔들리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9213a1cc496057cf2f6a46b5db854783_1755853964_46.jpg
 

완전한 독립, 그리고 이웃을 향한 약속

 

이찬수 목사는 29개 교회가 분립되는 구체적인 과정도 상세히 설명했다. 파송될 담임목사는 내부 부교역자 15명과 외부에서 추천받은 14명으로 구성했다. 특히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내부 인선은 자신을 제외한 모든 부교역자들의 투표로 결정했으며, 외부 인선 역시 본인 지원이 아닌 동료 교역자나 담임목사, 성도의 추천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도록 했다.

 

이후 1년 반 동안 예비 담임목사와 파송될 성도들이 함께 교구를 이루어 교제하며 미래의 교회를 준비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기간 동안 이들은 깊은 유대감을 형성하며 하나의 공동체로 단단해졌다.

 

이 목사는 분립되는 교회들에게 두 가지를 명확하게 요청했다. 첫째는 분당우리교회와의 완전한 결별을 위해 교회 이름에 ‘우리’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프랜차이즈가 아님을 분명히 하기 위함이었다. 둘째는 주보에 ‘반경 몇 킬로미터 이내 이웃 교회의 성도는 등록받지 않는다’는 문구를 명시하게 하여, 본의 아닌 수평 이동으로 주변 교회에 어려움을 주는 일을 막고자 했다.

 

이는 건강한 교회 생태계를 위한 최소한의 장치였다. 이 목사는 이 운동을 통해 교회에 상처받아 떠나 있던 소위 ‘가나안 성도’들이 새롭게 세워진 교회로 많이 찾아왔다는 반가운 소식도 전했다.

 

250억 원의 씨앗, ‘꿈 넘어 꿈’으로 이어지다

 

더 나아가 이찬수 목사는 29개 교회가 앞으로 어떤 모습이 되기를 바라는지에 대한 비전을 나누었다. 분립 개척 당시, 교회들은 초기 비용으로 발생한 총 250억 원의 지원금을 분당우리교회에 갚아나가고 있었다. 이 목사는 어느 날 29개 교회 목회자들을 모아, 그들이 갚아온 돈이 담긴 통장을 그대로 돌려주었다.

 

이 250억 원을 ‘꿈 넘어 꿈 프로젝트’의 씨앗으로 삼아, 이제는 당신들이 한국의 미자립 교회를 섬기라고 제안한 것이다. 그는 “이 돈을 갚는 데 쓰지 말고, 여러분 교회의 이름으로 한국 교회를 섬기는 일에 사용하라”고 권면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29개 교회는 경상도, 전라도 등 지역별로 매년 어려운 교회를 선정해 지원하는 사역을 시작했다.

 

이 목사는 마지막으로 중요한 경험을 나누었다. “밖으로 향하는 큰 숙제를 감당할 때, 교회 안의 사소한 다툼은 사라진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로 성도 파송을 준비하는 10년 동안 교회 내의 모든 잡음과 갈등이 거짓말처럼 사라졌던 경험을 증언하며, 교회가 안으로 시선을 돌리면 문제가 생기지만, 더 큰 사명을 향해 나아갈 때 비로소 가장 건강한 교회가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

구글 포토 앨범
아래 구글 앨범 링크를 누르시면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통해서 고화질 사진을 더 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시는 사진을 클릭하면 큰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photos.app.goo.gl/xCFcsaVP6DHoFuSD8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808건 187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 뉴욕서노회 제83회 정기노회 2018-09-05
뉴저지 교협 - 원칙 지키고, 선거 제도 개선해야 2018-09-05
"감사합니다. 목사님!" 10월 14일을 "목회자 감사의 날"로 지키자 댓글(1) 2018-09-04
해외한인장로회, 한국 명성교회 세습과 관련하여 중도적 성명 발표 2018-09-04
진용식 목사 “심지어 목사조차 왜 말도 안되는 논리의 이단에 빠지는가?” 댓글(6) 2018-09-01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 가든노회 여름수양회 - 키워드 “가족” 2018-09-01
평신도 사역자 양성하는 디딤돌아카데미/교협에서 수료증 발행키로 2018-08-31
뉴욕장로교회 “우리 교회에 불이 났어요! 부흥의 불이” 댓글(6) 2018-08-31
중국산 이단 동방번개를 경계하라/신천지 같이 늦지 말고 댓글(1) 2018-08-29
롱아일랜드지역 목회자들, 황인철 목사 환송식 열고 아름답게 보내 댓글(2) 2018-08-28
“포기하지 않고 완주하는” 뉴욕실버선교학교 제27기 개강예배 2018-08-28
제9회기 뉴저지목사회 시무 감사예배 및 이취임식 “예수님의 마음을 품고” 2018-08-27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 뉴욕노회 2018 목회자수련회 2018-08-25
미주한인여성목 수련회 “여성사역자의 리더십은 엄마 리더십” 2018-08-25
앨리스 샤프 선교사와 유관순, 그리고 한국 기독교 선교유적지 조성 2018-08-24
다음세대 회복캠프, 2018 낮은울타리 축복의 샤워 캠프 USA 2018-08-22
뉴욕과 뉴저지 2018 북미원주민 연합선교의 귀한 열매들 2018-08-22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 뉴욕서노회 2018 목회자 가족수양회 2018-08-22
김진산 목사 “히브리인, 이스라엘 백성, 유대인 - 3가지 다른 정체성” 2018-08-17
남침례회 뉴욕과 뉴저지 지방회 연합 목회자 가족 수양회 2018-08-16
박용규 교수 “옥한흠 목사는 메시지 한편에 생명을 걸었다” 댓글(1) 2018-08-16
배임순 목사 “어머니의 2가지 정체성” / 21차 어머니 기도회 2018-08-16
영생장학회 제2회 장학금 수여식 / 30명에게 5만7천여불 장학금 수여 2018-08-16
김진산 목사 “히브리어로 알아가는 성서의 땅” 2018-08-15
박용규 교수 “설교만큼 삶이 아름다운 이동원 목사” 2018-08-15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