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이후 교회로 돌아오지 않는 2가지 심각한 원인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팬데믹 이후 교회로 돌아오지 않는 2가지 심각한 원인

페이지 정보

이민ㆍ2021-07-03 01:51

본문

거의 1년 반 만인 지난 6월 15일 팬데믹으로 인해 캘리포니아에 내려졌던 모든 제재가 풀리면서 교회들도 재오픈했다.  

 

교회들은 눈에 보이는 물리적인 출석수가 작년 2월보다 훨씬 적을 것이라는 것을 직감했다. 그동안 등록, 마스크, 체온 측정, 사회적 거리두기가 필요했다. 참석자 수가 30% 정도에 머무를 것으로 내다보았고, 한도를 건물 정원의 40%로 제한하기도 했었다. 가능한 한 정부의 지침, 과학, 안전 및 영향력을 우선시하면서 신중하고 또 신중했다. 모든 것을 고려하고 이메일과 SNS 대화를 통해 우리의 계획은 꽤 잘 작동했다. 

 

b07a9615990b8d1c98651758d0698052_1625291501_74.jpg
 

이제 COVID 프로토콜이 사라졌다. 우리 지역 사회에서 백신은 쉽게 구할 수 있다. 이제 교회당 안에서의 마스크 선택이 가능하며,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벗어난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나머지 프로토콜을 제거함에 따라 대면예배 참석자 숫자가 그렇게 빠르게 증가하지 않을까하는 염려가 있다. 그 숫자는 전혀 증가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모두가 여전히 COVID를 두려워하거나 온라인 서비스 스트림을 보고 있기 때문일까? 

 

Woodstock City Church의 North Point Ministries 캠퍼스의 수석 목사이자, Transformation Solutions 대표로 리더십 코치와 목회 지도자 양성을 하는 개빈 아담스 목사는 이에 대해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다른 곳에 있다”며, “아니다”라고 단적으로 말한다. 

 

아담스 목사에 따르면 “여전히 교회의 구성원들이 직접 예배에 참석하고 있지만 일부는 지역의 다른 교회를 위해 우리 교회를 영구적으로 떠났으며, 거의 모든 주제의 극심한 양극화는 분노와 좌절의 추가 유행을 일으켜 불필요한 이동을 일으켰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다른 곳으로 떠난 교인들을 고려하더라도 우리는 많은 사람들을 놓치고 있다”며 소속 교회의 참여에서 완전히 실종된 수많은 사람들을 크게 2개의 범주로 설명했다.

 

그룹 1. 디지털 행동양식으로 바뀐 교회 소비자들! 

 

교회는 지난 10년 동안, 성도들을 점점 더 소비주의적인 메시지와 사람들을 끌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냈다. 우리 중 누구라도 매력적인 교회 자체에 반대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매력적인 교회는 뜻밖에도 소비자주의적인 기독교인들을 양산해 내는 쉬운 통로를 만들어냈다. 이것은 팬데믹 이전부터 유행한 것이다. 

 

수개월 동안 대면예배 없이 사람들이 ‘참석’하지 않고 참석할 수 있는 디지털 온라인 교회라는 대안을 내놓음으로서 소비 패턴의 용이성을 더욱 강화되었고, 이 사람들은 어느 시점에서 대면 예배나 교회 봉사로 돌아올 수 있지만 꼭 그렇게 되리란 보장이 없다. 그들은 팬데믹 이전에도 소비자였으며 이제는 디지털 교회의 용이함으로 그들의 행동양식이 굳어졌다고 보는 것이다. 

 

돌아오지 않는 아이들도 있을 것이다. 성인들은 스스로 영적 성장을 위한 설교나 책을 소비하려는 의지나 욕구가 있을 수 있지만 자녀들은 다르다. 이것은 모든 목회자들을 놀라게 할 것이다. 

 

강력한 디지털 존재가 그 자체로 문제가 있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교회가 복음을 전파하고 제자를 만들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활용해야 한다고 믿는다. 하지만 우리의 디지털 장치가 직접 참여에 대한 대체물이 되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단계이자 보충물이 되어야 한다.

 

그룹 2. “교회를 1년 동안 빠졌다. 하지만 내 삶은 더 나쁘지 않다” 

 

이것이 가장 걱정되는 카테고리이다. 그들, 그들의 자녀들, 그리고 그 뒤를 따를 세대가 걱정된다. 이 그룹은 건물 안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그리고 그들은 온라인에 있는 것 같지도 않다. 그들은 작은 모임이나 야외 행사에 돌아오지 않는다. 그리고 그들은 다른 교회에 있지도 않다. 그들은 파크, 호수, 공연장 그리고 집에서 커피와 여유로운 일요일 아침을 즐기고 있다. 

 

이 사람들은 이전의 교회 신자들이었던 이들로서 공식적으로 완전히 교회 신자에서 해체될 위기에 처해 있는 사람들이다. 

 

“왜 이 사람들은 지역 교회에 계속 참여하지 않는 것일까?” “어떻게 된 것인가?” “왜 그렇게 쉽게 떠났을까?” 그들은 전염병이 유행하는 동안 지역 교회로부터 떨어져 나왔고, 그들의 인생에서 아무것도 안 좋아진 것이 없다고 여길까봐 그것이 걱정된다. 분명히, 그들은 그것이 필요하지 않은 것이다. 아마도 그들은 교회를 통해 얻는 것이 그들의 시간, 에너지, 노력의 가치가 없었고 여겼을 것이다. 

 

물론, 우리 역시 잘 알고 있다. 그들이 교회에서 떠나는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면, 그들은 영영 돌아오지 않을지도 모른다. 

 

팬데믹은 교회 지도자들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주었다. 그것은 우리가 교회로서 하는 모든 일과 왜 그렇게 하고 있는지 평가하게 했다. 우리는 모든 답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교회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다음 버전을 발견하는 것은 우리에게 달려 있다. 

 

즐거운 예배만으로 그들의 마음을 되찾을 수 없다. 세상 문화는 오락으로 가득 차 있다. 콘텐츠로 그들을 되찾을 수 없다. 콘텐츠는 말 그대로 어디에나 있다. 자녀들에게 훌륭한 사역만 제공한다고 해서 그들을 교회로 되돌릴 수는 없다. 과거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그런 시대도 지나가고 있다. 

 

팬데믹 이후 교회는 소명에 합당한 도전과 의미를 연결하는 콘텐츠를 문화에 대한 대안으로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의 모델, 방법 및 전략을 변화시키는 데 걸릴 것입니다. 우리는 더 많은 실체가 필요하다. 더 많은 솔직함이 필요하다. 우리는 사람들이 그리워하는 실존하는 교회를 만들어야 한다. 

 

복음만이 그 가치이다. 이제 우리가 해야 할 시간이다.

 

피터 안 기자 ⓒ 크리스찬투데이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942건 185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뉴욕장로연합회 제9회 정기총회, 김영호 장로 회장 연임 2018-12-15
드리머들의 꿈과 희망과 재능을 지원하기 위한 공모전 2018-12-14
퀸즈장로교회, 18년째 연말마다 사랑의 바구니 2018-12-13
안팎으로 바빠진 뉴욕교협 청소년센터 “2019년을 기대해주세요” 2018-12-13
미남침례회 뉴욕뉴저지 한인지방회 송년 및 성탄축하 연합모임 2018-12-13
김정호 목사 “동성애 찬성으로 교단헌법 바뀌면 한인교회들 천덕꾸러기로 전… 2018-12-12
뉴저지 목사회, 은퇴목사 부부 위로회 2018-12-12
뉴욕정원교회 14주년, 목회자 10커플 초청 “땡큐, 프로젝트” 진행 2018-12-11
뉴저지 오늘의목양교회 남봉우 목사 은퇴 감사예배 2018-12-11
퀸즈한인교회 4대 김바나바 담임목사 취임 감사예배 2018-12-11
미주기독교방송국(KCBN) 29주년 후원 및 감사의 밤 2018-12-10
뉴욕목사회 성탄축하예배 및 제47회기 이취임식 2018-12-10
뉴욕겟세마네교회, 장학금 기증을 위한 제3회 열린 음악회 2018-12-10
뉴욕권사선교합창단 2018 정기연주회 “그가 곧 하나님” 2018-12-10
법적 사각지대에 놓인 한인 성인입양인들…권익보호 시급 2018-12-06
동부한미노회 88차 정기노회 - 50대 우종현 노회장 세대교체 2018-12-05
미주한인여성목, 2018 여성목회자의 날은 신입회원 환영의 날 2018-12-05
서울고법 “오정현 위임목사 무효” / 사랑의교회 "수용 어렵다" 2018-12-05
손태환 목사, 시카고 기쁨의교회에서 청빙 받아 2018-12-04
존 파이퍼 목사 “성경을 암송해야 하는 이유” 2018-12-04
퀸한 4대 담임 김바나바 목사 부임 “불같은 설교전해” 2018-12-03
뉴욕모자이크교회 4주년 - C&MA 가입, 입당, 임직, 기금전달 2018-12-03
뉴욕목사합창단 제5회 정기연주회 - 목사/사모의 아름다운 찬양 2018-12-02
원주민에 살해된 美 청년 선교사 열정이 남긴 것 2018-12-02
이스라엘 메시아닉 쥬의 급성장 - 3만 성도, 3백 교회 2018-12-01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