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돌아오지 않은 27% 교인들을 돌아오게 하는 방법은?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페이스 상패 해피바잉 이희상 로제 제이미


뉴스

아직 돌아오지 않은 27% 교인들을 돌아오게 하는 방법은?

페이지 정보

화제ㆍ2021-11-19 09:01

본문

몇 달 전에 뉴욕을 대표하는 한인교회 관계자로부터 팬데믹 전에 비해 아직 교인들이 50%밖에 교회에서 드리는 대면 예배에 돌아오지 않았다는 이야기를 듣고 놀란 적이 있습니다. 아마 대부분 한인교회들이 작은 차이이지만 비슷한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다행이라면 재정적으로는 성도들이 준 비율만큼 크게 줄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물론 재정이 줄었기에 교회운영을 긴축으로 하지만 크게 지장이 없다는 대부분의 의견들을 들었습니다. 이는 십일조를 헌금하는 교인들은 대부분 이미 교회에 출석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헌금 비율이 높지 않은 신앙이 약한 교인이나 건강을 조심해야 하는 노인들이 아직 교회에 나오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dfaf1db8118029523525bb3d1bb38498_1637462135_3.jpgdfaf1db8118029523525bb3d1bb38498_1637461986_07.jpg
 

미주한인교회들은 교회의 본연의 사명인 선교와 전도도 당연히 감당해야 하지만, 아직 교회에 나오지 않는 성도들에게도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하겠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최근 미국 라이프웨이 리서치가 낸 “아직 돌아오지 않은 교인들을 회복하는 8가지 열쇠”라는 기사를 보면 이제 대부분(98%, 2021년 8월)의 미국교회가 온라인이 아니라 예배당에 모여 예배를 드리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팬데믹 전에 비교하여 교인들의 출석률이 73%라고 분석합니다. 미국교회는 100명 중에 27명이 아직 교회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여러분들의 교회는 어떻습니까? 돌아오지 않은 교인들이 27%보다 더 많은가요 아니면 더 적은가요?

 

그리고 아직 교회에 돌아오지 않는 교인들이 다시 돌아오게 하는 8가지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런 내용입니다.

 

첫째,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지 결정할 때 성령님의 인도하심을 위해 먼저 기도하라는 것입니다. 당연한 순서입니다. 둘째, 교인들이 더 이상 교회에 출석하지 않는 이유를 알아보아야 다음 단계를 결정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막연히 책상에 앉아서 생각하는 이유와 교인들이 교회에 나오지 않는 이유가 다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셋째, 거의 모든 교회들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지역의 다른 목회자들과 경험한 것을 나누고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알아보라고 권유합니다. 이렇게 하기에 가장 좋은 것은 지역의 노회나 지방회 등 교단 조직일 것입니다. 하지만 교협이나 목사회에서도 교회의 이런 심각한 현실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분위기를 이끌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 아쉽습니다.

 

넷째, 교회의 입장만 내세워 무조건 교회에 나오라고 하지 말고, 나오지 못하는 교인들의 다양한 상황을 인정하고 합리적으로 조정하라고 권유합니다. 다섯째, 여전히 안전을 이유로 교회에 나오지 않는 사람들이 많으니, 교회에서 어떻게 안전하게 예방조치를 하는지 충분히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여섯째, 교회에 나오지 않는 교인들에게 계속 온라인 예배 서비스를 제공하라고 권유합니다. 교회에 나오라 하면서 온라인 영상을 제공하는 것은 모순처럼 들릴 수 있지만 아직 교회에 나오지 않는 교인들과 소통하는 방법으로 온라인 예배를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교회에 나오지 않는 교인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를 차단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일곱째, 교회에 나오지 않는 교인들이 다시 교회에 나올 수 있는 쉬운 길 혹은 계기를 마련하라고 합니다. 본교회로 돌아오는 교인들을 위한 환영행사를 기획하여 음식이나 친교 등으로 환영하라고 제안합니다. 연말의 주요절기인 추수감사절이나 성탄절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한동안 활동하지 않은 교인들을 위해 새로운 소그룹을 시작하라고 권유합니다.

 

마지막으로 연합된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라고 합니다. 예수님은 교회가 하나가 되기를 원하시며, 아직 교회에 나오지 않는 교인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라고 제안합니다.

 

2.

 

앞서 대부분의 한인교회들은 팬데믹 전에 비해 재정이 줄었지만, 그래도 성도들이 준 비율만큼 크게 줄지 않았다는 의견을 전했습니다.

 

라이프웨이 리서치의 최근 조사에 의하면, 많은 미국교회가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에 예산 부족과 헌금 감소에 직면 했지만 2021년에는 대부분의 교회가 예산을 충족하고 헌금 감소를 멈추었다고 조사되었습니다.

 

대부분의 교회(74%)는 2021년 헌금이 2020년에 받은 헌금과 일치하거나 초과했습니다. 구체적으로 헌금이 42%는 작년과 같으며, 31%은 작년 이상이라고 했습니다. 22%만이 작년 헌금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답했습니다.

 

목회자 10명 중 7명은 헌금 수준이 올해 예산을 충족했다고 말합니다. 구체적으로 거의 절반의 교회(48%)는 헌금이 예산에 맞추어졌으며, 22%는 헌금이 예산보다 많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27%가 헌금이 예산에 부족하다고 답했습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2,093건 178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개신교수도원수도회 제5회 사모수련회 ”기쁨의 영성” 2019-05-21
4개 교단 연합 친선체육대회 / 교단의 에너지를 교계로 2019-05-20
전광성 목사 67.77% 지지로 재신임, 노회 최종 인준남아 2019-05-20
뉴욕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 제26회 졸업예배 및 학위수여식 2019-05-20
뉴욕신학대학교 학위 수여식 및 권오현 총장 출판기념식 2019-05-20
제7회 CCV 말씀축제 “어린이 유튜브 영상을 통해 복음을 전해” 2019-05-18
이용걸 목사 “내 마음의 주인은 누구인가?” 2019-05-18
어머니의날 있는 5월에도 세계각지에서 어머니기도회 열려 2019-05-16
뉴저지 2019 호산나전도대회 강사는 이승종 목사 2019-05-16
유상열 목사 ⑧ 다민족 선교 - 문화와 상황화 2019-05-16
<아메리칸 가스펠> 번영복음 도전과 제3회 앰배서더 컨퍼런스 2019-05-16
번영 복음의 다섯 가지 오류, 번영 복음의 다섯 가지 오류 2019-05-15
9순의 목사가 목회은퇴한 후배 목회자에게 어떤 설교를 했나? 2019-05-15
8명의 기독교인 작가가 미술로 표현한 “하나님이 주신 봄” 2019-05-15
2019 할렐루야대회 말씀중심으로 / 주제는 “성결한 삶” 2019-05-14
뉴욕실버선교학교 졸업생 20명 니카라과 단기선교 2019-05-14
미주한인여성목회자협의회 원로성직자 초청예배 2019-05-14
제13회 미동부 5개주 한인목사회 연합체육대회 / 우승 뉴욕 2019-05-13
뉴욕교협 성령화대성회 마쳐, 이제는 할렐루야대회 2019-05-13
트렌톤장로교회, 황의춘 원로목사 추대 및 최치호 담임목사 위임 2019-05-12
뉴욕교협 성령화대성회 2일 “헌신과 성결한 삶” 강조 2019-05-12
뉴욕교협 성령화대성회 개막 “가장 중요한 것은 기도” 2019-05-11
“우리의 소원은 복음통일” 통일을 위한 세기총 13차 뉴욕기도회 2019-05-10
“개혁과 도약” 기독교대한감리회 제27회 미주자치연회 2019-05-10
교회와 사회의 오작교, 이보교 3회 심포지엄 “복지교회와 정부보조 수혜자… 2019-05-10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