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청소년, 한국보다 신앙 성숙도·정신건강 월등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페이스 상패 해피바잉 이희상 로제 제이미


뉴스

한인 청소년, 한국보다 신앙 성숙도·정신건강 월등

페이지 정보

탑2ㆍ2025-06-10 06:41

본문

[기사요약] 뉴욕지역 한인교회 청소년은 한국 청소년보다 정신적으로 더 건강하고 신앙 성숙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 청소년은 '수련회'와 '목회자'를, 한국 청소년은 '예배'와 '어머니'를 신앙의 주요 영향 요인으로 꼽아 차이를 보였다. 

 

667c921e32cc14cc71752ba6b7fc993a_1749552036_71.jpg
 

목회데이터연구소 [넘버즈] 290호 “한국 vs 미주 한인교회 청소년 신앙 의식 비교”를 통해 뉴욕교협이 의뢰하고 목회데이터연구소에서 진행한 '미주 한인교회(뉴욕지역) 청소년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2024년 9월부터 2025년 1월까지 미국 동부 지역 한인교회에 출석하는 만 11세에서 18세 사이의 청소년 16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는, 한국교회 청소년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주목할 만한 차이점들을 보여주었다.

 

신앙 성장에 가장 큰 도움이 된 요인을 묻는 질문에, 미주 한인교회 청소년들은 '집회/수련회'(58%)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는 공동체적 경험을 통해 신앙이 깊어지는 경향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반면 한국교회 청소년들은 '교회 예배/설교'(60%)를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택해, 두 그룹 간의 신앙 환경 차이를 드러냈다.

 

신앙생활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에 대한 응답도 흥미롭다. 미주 한인교회 청소년들은 '교회 목사님/전도사님'(53%)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고 답했다. 그러나 한국 청소년들은 '어머니'(50%)를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꼽았으며, '교회 목사님/전도사님'은 그 뒤를 이었다. 한인교회 청소년들에게는 목회자가 부모님보다 더 큰 신앙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신앙의 성숙도와 적극성, 미주 한인 청소년이 앞서

 

신앙의 성숙도를 4단계로 나누어 평가했을 때, 미주 한인교회 청소년들의 신앙이 더 깊은 경향을 보였다.  신앙 수준이 가장 낮은 1단계(하나님을 믿지만 그리스도를 잘 모르는 단계)에 해당하는 비율이 한인 청소년은 18%에 불과했지만, 한국 청소년은 52%에 달했다.

 

667c921e32cc14cc71752ba6b7fc993a_1749552177_18.png
 

신앙의 적극성을 엿볼 수 있는 전도 활동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지난 1년간 전도를 시도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한인교회 청소년은 62%로, 평균 4명에게 복음을 전하려 시도했다. 반면 한국 청소년의 전도 경험률은 43%였고, 평균 전도 시도 인원도 3명으로 한인 청소년보다 낮았다.

 

이러한 신앙적 배경에는 가정환경의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인교회 청소년의 81%는 '태어날 때부터' 교회를 다닌 모태신앙인이었으며, 이는 한국 청소년의 58%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특히 부모가 모두 기독교인인 경우, 모태신앙 비율은 91%까지 상승했다.

 

예배와 교회 생활, 공동체성에 비중 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예배 형태를 묻자, 한인교회 청소년의 94%는 '현장예배'를 선택했다.  이는 한국 청소년의 현장예배 선호도(80%)보다 높은 것으로, 온라인 예배에 대한 선호도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한국 청소년의 경우 15%가 '온라인 예배'가 자신에게 맞는다고 답해, 비대면 예배에 대한 수용도가 더 높았다.

 

청소년부 예배에 만족하는 이유로는 한인 청소년의 41%가 '교회 친구들과의 교제'를 꼽아 공동체적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찬양'(31%), '말씀'(18%)이 이었다. 반면 한국 청소년들은 '찬양'(28%), '교제'(25%), '말씀'(24%)을 비슷한 비율로 선택해, 예배의 여러 요소에서 고르게 만족감을 얻고 있었다.

 

하지만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두 그룹 모두에게서 발견됐다. 현재 출석하는 교회에 '계속 다닐 것 같다'고 응답한 비율은 한인 청소년 62%, 한국 청소년 66%로 나타났다. 이는 약 3명 중 1명은 교회를 옮기거나 신앙을 포기할 가능성, 혹은 미래를 확신하지 못하는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다.

 

더 건강한 정신과 뚜렷한 정체성

 

이번 조사에서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 중 하나는 정신건강 분야였다. 일상에서 느끼는 부정적인 감정에 대해 물었을 때, 모든 항목에서 한국 청소년의 응답률이 한인 청소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667c921e32cc14cc71752ba6b7fc993a_1749552296_32.png
 

'거의 매일 피곤하거나 에너지가 생기지 않는다'(한인 33%, 한국 45%), '학업에 대한 흥미가 줄었다'(한인 29%, 한국 46%), '자살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해 본 적이 있다'(한인 4%, 한국 27%) 등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전반적으로 미주 한인 청소년들이 더 건강한 정신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에 한인 청소년들은 64%가 자신을 '한국인이자 미국인'이라고 인식했으며, '한국인 혈통이 자랑스럽다'는 응답은 87%에 달해 긍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도전적인 과제도 드러났다. 지금까지 살면서 경험해 본 것을 묻는 항목에서 한인교회 청소년 5명 중 1명(22%)은 '포르노를 시청'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음주' 경험도 18%로 나타나 다음 세대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교육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738건 13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기아대책이 어둠 속에 비춘 복음의 빛, 과테말라와 에티오피아 현장 2025-04-30
황달연 장로가 설교같이 길게 선교 기도를 한 이유 2025-04-29
국남주 목사와 국 그레이스 사모 부부, 30여년 헌신과 봉사 인정받고 대… 2025-04-29
미국교회는 스마트폰을 금지 대신 활용, 예배의 도구로 진화 중 2025-04-29
뉴욕실버미션학교, 제39기 종강 및 파송예배 2025-04-28
뉴욕과 뉴저지 청소년들, 농구 코트에서 건강한 교제와 아름다운 연합 2025-04-28
제10차 사모수련회, 호성기 목사 ”기도하는 믿음의 습관을 함께 만들어가… 2025-04-28
박상돈 목사, 지친 사모들에게 건네는 위로 "주님은 당신을 사랑하십니다" 2025-04-28
전기현 대표회장 연임, 세기총 "복음 전파와 사회 통합 힘쓸 것" 2025-04-28
뉴욕한빛교회, 49주년 맞아 희년을 준비하는 새 일꾼 세워 2025-04-27
시카고지역 한인교회 100년사 출판 감사예배 2025-04-27
뉴욕장로연합회 5/1 전도세미나 앞두고, 복음의전함 고정민 이사장 사역 … 2025-04-27
한자 속에 숨겨진 창세기 비밀, 김명현 박사 뉴욕장로교회 집회 화제 2025-04-26
제10회 청소년 말씀찬양 집회 "진정 하나님 앞에 있는가?" 도전 2025-04-25
[인터뷰] 청소년사역 활성화에 앞장서는 뉴욕한인청소년센터 대표 최지호 목… 2025-04-25
미 최초 한인 상원의원 앤디 김 "한인교회에서 신앙의 가치배웠다" 2025-04-25
교회를 떠나도 하나님을 찾는 사람들 2025-04-25
2020 팬데믹 5주년 특집: 위기 속에서 빛난 교회의 사명 2025-04-25
19세기 런던 부흥기, 스펄전은 어떻게 교회를 세웠나? 2025-04-24
존 파이퍼 목사 “강력한 설교자가 되는 3가지 비결” 2025-04-23
뉴욕교협, 제1회 작은 교회 지원 및 청소년 장학금 후원 골프 대회 2025-04-23
성경 앱 사용 폭증, 교회 출석률 급등… 영적 부흥 신호탄? 2025-04-23
이규섭 목사 간증 “기도의 어머니가 자녀를 바로 세운다” 2025-04-23
이민자·유학생을 위한 촛불 연합기도회 "Kindling Hope" 열린다… 2025-04-23
미국 성도 "매주 교회가야 신자" vs 목회자 "덜 와도 괜찮아" 2025-04-23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