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효식 목사 "나 좋아하시죠?"…분열의 시대, 관계 회복의 열쇠를 묻다
페이지 정보
탑2ㆍ 2025-10-17관련링크
본문
[기사요약] 주효식 목사(교협 부회장)가 10월 16일 설교에서 말라기서를 통해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불통을 지적하며, 이는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불신에서 시작됐다고 전했다. 그는 교역자들이 사소한 감정이나 명예(팥죽) 때문에 목사·장로의 장자권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며, 연약할수록 더 귀히 여기시는 하나님의 '이상한 사랑'을 받아들여 분열을 넘어 사명을 감당해야 한다고 밝혔다.
▲ 주효식 목사 "하나님의 이상한 사랑이 분열을 이기는 힘"을 강조
"선배님, 나 마음에 안 들죠?"라는 가시 돋친 질문이 관계를 파괴하듯, 오늘날 뉴욕교계 안의 불신과 반목 역시 서로를 향한 사랑의 확인을 잊은 데서 비롯된 것은 아닐까. 한 목회자가 "목사님, 저 좋아하시죠?"라는 따뜻한 질문으로 돌아가자고 제안하며, 모든 사역의 근본은 하나님의 '이상한 사랑'에 대한 확신에 있음을 강조했다.
10월 16일(목) 오전에 열린 뉴욕교협 임시총회 1부 예배에서 주효식 목사(부회장)는 '이상한 사람 수상한 사람'이라는 제목으로 말라기 1장 1-3절 말씀을 전했다. 설교 제목은 '이상한 사랑'을 재치있게 표현한 것.
주 목사는 한 해 동안 부회장직을 마무리하는 소회를 나누며, 사역의 가장 큰 원동력은 회장과 동료 임원들이 자신을 신뢰하고 좋아한다는 믿음이었다고 고백했다. 그는 이 경험을 바탕으로,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 사이의 불통 역시 사랑의 부재가 아닌, 사랑에 대한 불신과 오해에서 시작되었음을 날카롭게 짚었다.
주효식 목사는 말라기서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모습을 통해 오늘날 신앙인의 모습을 조명했다. 주 목사는 "하나님은 '내가 너희를 사랑하였다'고 분명히 말씀하시지만, 이스라엘 백성은 '주께서 어떻게 우리를 사랑하셨나이까?'라고 되묻는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영적 불감증은 제단을 더럽히고도 더럽힌 줄 모르며, 하나님의 이름을 멸시하고도 부인하는 모습으로 이어진다.
주 목사는 이것이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 말씀을 전하는 설교자 자신부터 찔림으로 받아야 할 경고라고 밝혔다. 그는 "어려움이 찾아올 때마다 '하나님, 저 사랑하시는 거 맞아요?'라고 묻던 것이 나의 못된 버릇이었다"며, 이런 의심이 들 때가 사명을 감당하기 가장 힘든 시기였다고 솔직하게 나누었다.
팥죽 한 그릇에 팔아넘긴 장자권, 오늘 우리의 모습은?
주효식 목사는 하나님께서 야곱을 사랑하고 에서를 미워하신 기준은 단 하나, '장자권을 대하는 자세'였다고 설명했다. 에서는 당장의 배고픔을 해결해 줄 팥죽 한 그릇에 영원한 가치를 지닌 장자의 명분을 가볍게 팔아넘겼다. 주 목사는 이 말씀을 오늘날 교역자들에게 적용하며 "저와 여러분은 기름 부음 받은 목사, 장로라는 장자권을 받았다"고 말했다.
주 목사는 "우리가 회의하고 토론하는 중에 자신의 이름과 명예, 계획이나 감정 같은 '팥죽 한 그릇' 때문에 거룩한 장자권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제사장이 구별된 예복을 입듯, 교역자들도 모임에 임할 때 세상의 옷을 벗고 그리스도의 옷, 말씀의 옷을 입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신분에 맞는 옷을 입을 때 그에 합당한 역할과 사명을 감당하게 된다는 것.
설교를 마무리하며 주 목사는 하나님의 사랑을 '이상한 사랑'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찬양 '날 사랑하심'의 가사를 인용하며 "우리가 연약할수록 더욱 귀히 여기시고, 높은 보좌에서 가장 낮은 우리를 보시는 것이 바로 세상의 논리를 뛰어넘는 하나님의 경이로운 사랑"이라고 말했다.
주효식 목사는 "이해할 수 없기에 더 위대한 그 사랑을 거부하는 '수상한 사람'이 아니라, 그 사랑을 기쁨으로 받아 사명의 원동력으로 삼는 '비상한 사람'이 되자"며 기도로 설교를 마쳤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