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장 합동 유감, 세이연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교류금지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페이스 상패 해피바잉 이희상 로제 제이미


뉴스

예장 합동 유감, 세이연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교류금지

페이지 정보

신학ㆍ2019-09-24 06:27

본문

예장 합동(총회장 김종준 목사)은 제104회 총회 둘째 날인 9월 24일에 이단대책협의회 보고에 따라 세계한인기독교이단대책연합회(이하 미주 세이연, 대표회장 김순관 목사)를 반삼위일체를 주장하는 이단으로 규정하고 교류 금지를 결의했다. 

 

507c939846a0630ee9e1565803d79941_1569320864_37.jpg
 

세이연은 두날개양육시스템 처리를 놓고 의견차이로 2016년 미주 이단대책 사역자를 중심으로 한 그룹(회장 김순관 목사)과 한국의 이단대책 사역자를 중심으로 한 그룹(회장 진용식 목사)으로 나누어졌다. 이후 서로 인신공격에 가까운 공방전이 벌어졌다.

 

미주 세이연에 속해 활동하는 이인규 권사(평신도이단대책협의회)에 대해 2017년 예장 합동은 ‘교류금지’ 그리고 고신측은 ‘참여금지’를 각각 결의했다. 미주 세이연은 2017년 10월에는 “두날개양육시스템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발표했으며, 2018년 9월에는 한국 세이연 회장인 “진용식 목사에 관한 연구보고서” 발표하여 신학적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진용식 목사는 크게 반발하여 해명과 함께 미주 세이연 주장의 신학적인 문제점을 역공했다. 미주 세이연은 올해 3월 열린 제8차 정기총회에서 진용식 목사에게 공개토론회를 개최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채택하기도 했다. 또 미주 세이연에 속한 한선희 목사는 9월 28일에는 두날개양육시스템을 내용으로 이단대책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알렸다.

 

예장 합동의 미주 세이연에 대한 이번 판정은 앞서 소개한 배경 때문에 그 진정성보다는 결국 자신의 터전을 바탕으로 한 상대에 대한 공격이라고 의심을 받을 여지가 다분하다. 진용식 목사는 예장 합동 이단대책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두날개양육시스템을 만든 김성곤 목사는 예장 합동 소속이다. 

 

한때 모두 한마음으로 이단대책에 매진하던 동지들이 분열되는 모습이 아쉽다. 서로 조금씩 양보할 수는 전혀 없었나? 세이연의 분열은 장기적으로 보면 이단대책의 권위를 손상시켰다고 역사는 기록할 것이다.

 

다음은 예장 합동 이대위의 보고 내용 전문이다.

9. 세이연(세계한인기독교이단대책연합회)

경기노회장 원용식씨와 남중노회장 고광종씨가 헌의한 ‘미주 세이연과 이인규씨 이단성 조사 및 이단성이 있는지 조사의 건’에서 「1. 미주 세이연 이단성 조사청원: 미주 세이연(회장: 김순관) 박형택, 이인규, 한선희, 조남민, 김성한, 이태경, 서인실, 백남선, 이종명 등은 예수님의 자존성(여호와)을 부인하고, 성령의 여호와 되심을 부인하는 성부 유일신론 및 반 삼위일체 교리를 주장하고 있다고 봅니다. 또한 본 교단 목회자들을 이단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위 사항을 조사하여 이단성이 발견되면 전 교회에 공표해 주시기 바랍니다. 2. 이인규씨 이단성 조사청원: 이인규(감리교권사)씨는 특별계시가 계속된다는 주장으로 2017년 본 교단 102회 총회에서 ‘교류금지’로 결의된 자입니다. 4개 교단에서 이단성을 조사받았습니다. 이번에는 예수님의 자존성(여호와)을 부인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수님의 여호와 되심을 부인하는 이인규를 조사하여 이단성이 있다면 전국교회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본 교단 102회 이단대책위원회 총회보고서는 「이인규씨는 감리교 권사로서 사업을 하다가 이단연구를 하면서 이단 연구가가 되었다. 그가 신학을 공부하지 않았기 때문에 ‘평신도 이단연구가’라고 할 수 있다. 이인규씨의 사상의 문제점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오늘날도 특별계시가 있다는 것이며, 둘째는 십자가 복음과 부활복음을 이원화하며, 셋째는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속죄를 이루시고, 부활하심으로 구속(redemption)을 이루셨다고 하며, 넷째는 하늘성소가 실제로 존재하는데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죽으신 후 실제로 하늘 성소에 들어가 다시 피를 뿌렸다는 것이다.」 본 교단의 연구 결론으로 「이인규씨는 평신도로서 이단 연구를 하고 있는 것이 훌륭한 점이기도 하지만, 얼마나 위험한 일인가를 말해주고 있다... 본 교단 성도들은 개혁주의 신학과 맞지 않고 이단성이 있는 이인규씨의 이단 연구 결과물에 의지하는 것을 삼가야 할 것이며, 본 교단 산하 교회와 목회자와 성도는 그의 인터넷 신문과 인터넷 ‘무엇이든지 물어 보세요’ 까페에 기고, 구독, 광고 및 후원하는 것과 철저히 교류 금지해야 할 것이다」라고 결론을 내렸다. 결론적으로 이인규씨는 본 교단 목사에 대한 이단성 공격을 일삼아 오면서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본 103회 이단대책위원회에서는 이인규와 같은 입장에 있는 세이연에 대하여, 본 교단 산하 교회와 목회자와 성도는 세이연과 그와 관련된 모든 인터넷 신문과 인터넷 등에 기고, 구독, 광고 및 후원하는 것과 철저히 교류를 금지하기로 하다.

 

ⓒ 아멘넷 뉴스(USAamen.net)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쓰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로제

뉴스 목록

Total 11,806건 1 페이지
뉴스 목록
기사제목 기사작성일
찬양으로 로마에 복음을! 뉴욕장로성가단, 출정 감사예배 드려 새글 2025-09-03
"세속화 3단계"... 미국은 2단계, 한국은 3단계 진입 새글 2025-09-03
미국 교회 지각변동: Z세대, 가장 충성스러운 출석자로 부상 새글 2025-09-03
동부개혁장로회신학교 개강부흥회, 박용규 목사 "기도 외에는 다른 길이 없… 새글 2025-09-03
김양재 목사의 ‘THINK 세미나’ 뉴저지 상륙(9/16), 가정과 교회… 새글 2025-09-03
뉴욕조이풀콰이어, 제11회 정기연주회…싱글맘 위한 희망의 노래 새글 2025-09-03
"나를 알아야 사역이 성장한다" 목돌선, 자기인식 프로그램 개설 새글 2025-09-02
"솔직히 부끄럽습니다"… 한준희 뉴욕목사회장, 뼈아픈 회개의 기도 새글 2025-09-02
"잠든 교회를 깨우소서"… 전희수 목사, 뉴욕 교계의 영적 각성 위해 부… 새글 2025-09-02
"사라지는 다음세대"… 임영건 목사, 눈물의 회개로 부르짖다 새글 2025-09-02
뉴욕 할렐루야대회의 두 과제, ‘담임목사의 문’과 ‘재정의 후원’ 새글 2025-09-02
정체된 교회 vs 성장하는 교회, ‘미래’를 대하는 태도가 달랐다 새글 2025-09-02
데이터가 밝힌 교회 성장의 비밀, 해답은 ‘내부 동력’에 있었다 새글 2025-09-02
박춘수 목사, “갈등, 성경적 리더십으로 돌파해야” 새글 2025-09-02
한필상 목사, 흔들리는 세상 속에서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설교전략 새글 2025-09-02
교회 붕괴의 시대, 이영문 목사가 제시한 해법 ‘원형 복음’ 새글 2025-09-02
쇠락한 탄광 도시 스크랜턴의 경고 “한인교회는 박물관이 될 수 없다” 댓글(1) 새글 2025-09-02
이찬수 2025 뉴욕 (8) 사역의 본질 “기능이 아닌 관계로” 새글 2025-09-01
이승희 목사, 뉴욕에 던진 ‘회복과 기적’의 메시지 새글 2025-09-01
용서의 기도에서 부흥의 기도로, 허윤준 목사의 21일 여정 댓글(1) 새글 2025-09-01
이찬수 2025 뉴욕 (7) ‘행복과 노욕 사이’ 뉴욕 목회자들과 나눈 … 2025-08-31
‘살아 움직이는 교회’ 세미나, 교회의 본질을 향한 몸부림 2025-08-31
할렐루야대회 앞두고 거리에서 땀 흘린 뉴욕교협 임원들 2025-08-30
뉴욕교계 ‘엘리에셀 프로젝트’, 첫 만남에서 5쌍 연결…가을엔 더 큰 만… 2025-08-30
"은혜 위에 은혜는 오역"… 선우 권 목사, 원어풀이 부흥 전략 공개 2025-08-30
게시물 검색



아멘넷의 시각게시물관리광고안내후원/연락ㆍ Copyright © USAamen.net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아멘넷(USAamen.net) - Since 2003 - 미주 한인이민교회를 미래를 위한
Flushing, New York, USA
카톡 아이디 : usaamen / USAamen@gmail.com / (917) 684-0562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